d라이브러리
"기둥"(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수학자 수, 그림으로 말해요!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참고해, 카탈란 수를 네 가지 방법으로 시각화 하세요!카탈란의 연구노트나는 세 개의 기둥에 서로 다른 n개의 원판을 크기 순서대로 꽂는 하노이의 탑을 연구하다 놀라운 수를 발견했다. 바로 1, 1, 2, 5, 14, 42, 132, …순으로 이어지는 수의 나열이다. 이 수가 신기한 것은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홀수 ...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박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유로파의 자외선 방출 패턴을 분석해 찾아냈다. 물기둥이 중요한 이유는 표면의 두꺼운 얼음층을 뚫고 나오기 때문이다. 얼음층이 깨지면서 산소를 비롯한 화학물질이 바다로 유입돼 초기 지구에서 생명체가 탄생할 때와 유사한 조건이 만들어질 수 있다. 또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상태다. 예를 들어 유리는 석영(수정)처럼 규산염 광물(SiO2)로 된 물질이지만, 분자가 육각기둥 형태를 이루며 자라는 석영과 달리 각 분자가 규칙성 없이 그냥 ‘나열’돼 있다. 준결정은 원자 구조가 일정하게 배열돼 있는 것 같지만 규칙성이 없다. 펜로즈 타일링이 준결정 구조를 설명하는 ... ...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아름다움에 심취한 데카르트는 눈 결정이 생성되는 과정을 관찰한 뒤, 이를 평판, 각진 기둥, 조합 결정 등 12가지 형태로 구분했다. 데카르트는 눈 결정을 탐구한 최초의 수학자다.3. 현미경으로 눈을 관찰한 생물학자, 로버트 훅(1635~1703)17세기 중반에 이르러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눈 결정 관찰은 ... ...
- 눈 VS 우박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되지요. 눈결정은 육각형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별모양이나 바늘모양, 나뭇가지 모양, 기둥모양, 편평한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자라기도 한답니다. 함박눈이 내리면 따뜻한 날?‘함박눈이 내리면 따뜻하고 가루눈이 내리면 춥다’는 속담을 아시나요? 눈은 기온이 아주 낮아 추운 날에는 커다란 ... ...
- 부력으로 둥둥 물로 가는 친환경 보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물이 나오는 게 작용, 보트가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는 건 반작용의 결과지!저는 기둥에 물을 가득 채워 볼래요! 그럼 보트도 빨리 가지 않을까요?음음~. 아까 부력이 물체의 무게에 반비례한다고 말했잖아. 물론 물을 많이 넣으면 보트 속도가 빨라질 수 있지만 무게도 무시하면 절대 안 돼~! 물을 너무 ...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구멍으로 조금씩 위로 올라오면서 물이 언다(➋).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위로 솟는 얼음 기둥(역고드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➌). 잠깐! 역고드름이 잘 생기는 마이산전북 진안의 마이산은 역고드름이 잘 생기는 곳으로 유명하다. 변희룡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교수는 “마이산은 바람이 ... ...
- 모래성 쌓기 챔피언, ‘모래아리 까르까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표현한 ‘피사의 선탑’이다르. 나도 문제 하나 낼게르~, 기둥은 모두 몇 개일까르? 기둥 간격이 모두 같다르~.”미션3 아프리카 초원의 남극펭귄“세 번째 작품은 아프리카에서 온 ‘싸커나말타타’의 작품입니다.”싸커나말타타의 작품은 아프리카의 향기가 물씬 풍기는 초원의 동물가족을 모래로 ... ...
- 대결! 무지개를 만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그게 무엇인가요?핫하하, 이건 바로 물프리즘이야. 투명 아크릴판으로 속이 빈 삼각 기둥을만든 다음, 통 안에 물을 가득 채운 것이지.우아, 그럼 유리프리즘처럼 무지개가 생기나요?당연하지! 프리즘을 통과하는 빛은 굴절하면서 여러 색깔로 분산하게 된단다. 흰 종이를 대면 더 자세히 볼 수 있지. ... ...
- [W5 코드 브레이커] 수학과 함께 달려온 암호의 역사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막대기에 글자를 적은 양피지 띠를 둘둘 감아야만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각기둥 모양의 막대기가 있다고 하자. 양피지를 막대기에 감을 때 한쪽 면에 위치하는 글자들은 양피지를 폈을 때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즉, 모든 글자가 마치 덧셈을 하는 것처럼 일정한 크기만큼 떨어져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