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간
기미
테인
tarsus
d라이브러리
"
다소
"(으)로 총 1,341건 검색되었습니다.
9화 새로운 단서를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어떻게 하지?”“어떻게 하긴 뭘 어떻게 해! 난 이 낭떠러지 길로는 절대 못 가!”폴은
다소
격앙된 말투로 다시 동굴로 들어가 다른 길을 찾아 보자고 주장했다. 그리고 문이 있던 뒤를 향해 돌아서는데….“무…, 문이 없어졌어?!”폴의 비명에 다들 들어왔던 문을 찾았다. 하지만 문은 온데간데 ... ...
여성의 IQ는 남성보다 높아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기억하는 방법처럼 구체적인 과정이 어떻게 이뤄지는지가 연구 대상이다. 앞으로도
다소
모호한 개념인 ‘일반적 지능’보다는 뇌의 구체적인 능력을 자세히 연구할 가능성이 높다.미래에는 이처럼 뇌의 여러 가지 능력을 하나하나 판단하는 방법이 등장할지도 모른다. 그러면 수치 하나로 사람의 ... ...
벨기에 와플 제대로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맛도 다르다. 먼저 브뤼셀 와플에는 리에주 와플보다 설탕이 적게 들어간다. 그냥 먹으면
다소
심심한 맛이라 보통 그 위에 설탕 가루를 뿌려 먹는다. 또한 반죽이 액체에 가까워 겉은 바삭바삭한 반면 속에는 촉촉함이 남아 있다. 손으로 들고 먹기는 조금 어렵기 때문에 길가에서 주문하면 네모난 ... ...
‘21세기 일류기업’ 씨뿌리는 초전도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교수가 후배에게 고온초전도 재료 벤처기업 ‘서남’ 설립을 권유하면서 했던 말이다.
다소
무모해 보이기도 하는 이 야심 찬 한마디에는 사실 ‘믿는 구석’이 있다.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을 개발해 세계를 놀라게 하고, 연구개발을 선도해본 경험이 있는 유 교수의 자신감이다.연구 불모지에서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함께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방문한 후 작성한 여러 기사 중 한편이다. 연다혜 양은
다소
생소한 미세증거물에 관련된 내용을 기사로 작성했다. 미세증거물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직접 인터뷰한 국과수 연구원의 생생한 현장 경험을 문답식으로 알기 쉽게 풀이했다. 당연하겠지만 이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더 커질 것인가. 1km에 이르는 선박이 등장할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현재 세계적인 항만에서 컨테이너를 선박에 한 번에 실을 수 있는 컨테이너 길이는 최대 약 60m이다. 20피트 컨테이너 10개를 한번에 실을 수 있는 길이다. 컨테이너 운반선이 더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저서 ‘멀티유니버스’에서 행한 계산에서는 입자가 배열될 총 경우의 수가 1010122개로
다소
크다.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압도적으로 큰 수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탄생 무한 공간 속 도플갱어바로 여기에서 제1다중우주가 생길 가능성이 태어난다. 테그마크 교수의 주장이 사실이고 만약 우주가 1 ... ...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바이오로보틱스’의 이범교 사장은 “로봇수술은 흉터가 적고, 회복도 빠르기 때문에
다소
비용을 지불해도 꼭 하고 싶어 하는 방법”이라면서 “암 같은 복잡한 수술도 해야 하니 앞으로 로봇수술 의존율은 점점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다빈치 능가할 수술 기법 어떤 게 있나… “흉터를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에폭시우레탄’이라는 화학물질도 사용된다. 시멘트를 사용하면 굳는 데 시간이
다소
걸리지만 강도는 높다. 우레탄은 빨리 굳지만 내구성이 약하다. 따라서 암석의 재질과 지반 상태에 따라 시멘트와 에폭시우레탄을 선택하면 된다.방수는 아무리 잘해도 언젠가는 물이 샌다. 배수 시설을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발표했던 것이다. 이를 두고 조선일보는 “중국 속도전에 다 잡은 노벨상을 놓쳤다”는
다소
호들갑스러운 제목으로 기사를 싣기도 했다. 그동안 어떤 일이 생긴 걸까.수수께끼의 변환상수는 11.3%표준모형의 기본 입자인 중성미자는 검출하기가 극히 어려워 ‘유령 입자’라고 부른다. 전기적으로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