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전"(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모름. 여성. 32.1세. 행복과 약간의 공포(fear).” 10월 말,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인지로보틱스연구부의 한 실험실. 얼굴 인식 인공지능(AI) ‘딥미러(deep mirror)’가 처음 만난 기자의 얼굴을 분석한 결과다. 얼굴 정보만으로 용케 여성임을 알아봤다. 활짝 웃으면서도 내심 긴장했던 기자의 심리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를 이끌어냈고, 아주 나중에서야 기존에 있던 이론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그로텐디크는 몽펠리에대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하지만 강의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학기 초에 교과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훑어보고 모든 지식을 흡수했기 때문에 수업을 들을 필요가 ... ...
-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➌ 가난한 나라에 버려진 폐전자제품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Part 2. 금부터 희소금속까지, 폐전자제품에는 자원이 가득!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Part 4. 성공의 열쇠는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곳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2018년 바이오블리츠코리아는 대전에서 열릴 예정이에요. 생물의 이름을 찾아 다양성을 지키고 멸종을 막는 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 참가 가능하답니다. 어과동 친구들도 내 손으로 새로운 종이나 미기록종 찾기에 도전해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즐길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영국의 각 지역으로 퍼져 독자적으로 발전했고, 1차 세계대전 때 영국 군인들이 다른 나라에 전파하면서 세계로 퍼져 나갔어요. 활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던진다는 것만 빼면 다트는 양궁과 매우 비슷합니다. 다트 보드라고 부르는 과녁을 향해 다트를 던지고, 다트가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습니다. 분야별로 특화된 국방연구소 DRDC의 전신인 국방연구위원회(DRB)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7년 4월 설립됐습니다. 캐나다 군대(지상군, 해군, 공군)에 무기를 공급하기 위한 군 내부 연구 개발 부서로 운영되다가 3군이 통합되면서 2000년 4월부터 국방부 소속으로 재편됐습니다. 직원은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전에서 학부 4년을 마치고 1999년 필자가 입학한 대학원 실험실에는 한 가지 특별한 규칙이 있었다. 오전 9시 30분 출근, 이후 30분씩 늦을 때마다 1000원씩 벌금을 내 모인 돈으로 10명 남짓한 구성원들이 함께 점심을 사먹는 단순하지만 엄격한(?) 규칙이었다. 사람들이 말하는 전형적인 ‘올빼미형’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점 하나에 들어갈 만큼 작게 인쇄해 감추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독일에서는 1차 세계대전 당시 정보를 몰래 전달하기 위해 이 방법을 이용했지요. 모나리자에 사과를 숨겨보자!숨겨 줄 사진의 픽셀에 숨길 사진의 RGB 값을 차곡차곡 나눠봅시다. RGB 값은 숫자 세 개로 표현하고 이진법으로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가 조금씩 늘고 있어 향후 며칠간 주의해서 지켜봐야 합니다.” 10월 11일 오후 3시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우주환경감시실. 김록순 우주과학본부 태양우주환경그룹 선임연구원이 화면을 보며 설명했다. 거대한 상황판 왼쪽에는 태양 관측 위성이 촬영한 태양의 실시간 영상이, 오른쪽에는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질량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긴 하지만, 매우 거대한 가속기가 있고 플래시를 대전시킬 수만 있다면 가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대형 가속기를 획기적으로 작게 만드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보통 양성자와 같이 작은 하전 입자도 고에너지로 가속하기 위해서는 규모가 큰 가속기가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