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d라이브러리
"
둘임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 숲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드넓은 방사장에서 사람들과 거리를 두고 지내는 호랑이들도 있어요. 호랑이의 야생성을 기르고, 종 보존에 관한 연구를 하는 공간이죠. 바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 숲! 이곳의 호랑이들은 어떻게 지낼까요? 야생 배우러 유학 떠난 호랑이 남매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국립백두대간수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그럴 땐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냉장고의 ‘지잉’ 소리는 왜 나는 건가요?조우리(ivorypr) “ ... ...
[기획] 눈치 싸움에서 찾은 내시 균형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매스스타트와 쇼트트랙은 동계올림픽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종목이야.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게 될 텐데, 이번에는 한번 색다른 관점에서 경기를 바라보자. 자세히 보면 승리를 위한 선수들의 치열한 눈치 전략을 볼 수 있거든! 0.01초 단위로 승부를 가르는 ... ...
[역설의 나라 앨리스] 제2장. 모순 웅덩이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1637년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가 제기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무려 358년이 지나 풀렸습니다. 이 증명은 가장 어려운 수학 문제로 기네스북에 등재돼 있으며, 20세기 수학계 최고의 성과로 꼽힙니다. 하지만 역설 나라에서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거짓일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 ...
[에디터노트] 언젠가 닿기를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미국의 저널리스트 엘런 와이즈먼이 2007년 발표한 논픽션 ‘인간 없는 세상’은 꽤 신선한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만약 지구에서 인간이 다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원래 미국 잡지 ‘디스커버’ 편집장의 요청으로(저도 이렇게 훌륭한 요청을 해야 할텐데요) 2005년 쓴 에세이가 기원인 이 작품은 ... ...
인류멸망시나리오② 10km급 천체가 떨어져 겨울이 찾아왔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한때 인류는 소행성을 곡물(Ceres)과 지혜(Pallas), 사랑(Eros)의 신의 이름으로 불렀다. 소행성 하나하나에 인류를 풍요롭게 하는 존재나 가치를 투영했다. 그러나 오늘날 소행성은 인류를 파멸로 이끌지 모를 두려운 존재로 여겨져 풍요 대신 멸망과 관련된 이름이 붙곤 한다. 2004년 발견된 소행성 ‘아 ... ...
[SF소설] 마지막 인사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상큼한 가을 햇살이 씻어낸 오솔길에 방금 떨어진 낙엽이 가득했다. 조용히 굴러가는 전동휠체어의 바퀴가 마른 잎을 밟으며 바스락거렸다. 흰 머리를 곱게 빗어 묶은 당신은 반쯤 눈을 감은 채 주름 가득한 피부를 어루만지는 바람을 느낀다. 시트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다정한 목소리가 들려온다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세상을 설명하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2호
수다 :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책으로 꼽히는 ‘프린키피아’를 쓴 바로 그분이시죠! 네. 모든 물체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설명한 책이지요. 사람들이 제 덕분에 세상의 자연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하더군요, 하하. 저는 자연의 법칙을 숫자와 ... ...
[이달의 식물사연] 꽃으로 즐기는 불꽃놀이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늦겨울에서 이른 봄 사이, 곤충과 새를 유혹하기 위해 화려한 불꽃놀이를 벌이는 식물이 있다. 사람들이 좋은 날에 축제를 벌이며 불꽃놀이를 하듯 생명력이 왕성한 계절에 풍성하게 피어나는 꽃들은 꿀과 꽃가루를 좋아하는 동물들에게 더없이 좋은 향연을 제공한다. 꿀풀과의 열대 관목으로 5m ... ...
[융복합@파트너]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1월 5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난 박치영 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엔 기사 스크랩이 가득했다.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보고자 관심 있는 연구를 하나 둘 모으다 보니 많아졌다고 했다. 실제로 그의 연구실에서는 고분자화합물을 다루는 순수 화학 연구부터 실생활에 유용한 약물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