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하
저승
나락
지옥
d라이브러리
"
땅속
"(으)로 총 2,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어디로 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4호
앞으로 음식물 쓰레기들이 갈 곳을 찾을 때까지 계속 이 급식소는 음쓰 맛집으로 남아있겠군요? 그런데 이 음식물 쓰레기들은 다 어디로 가는 걸까요? 다음 음쓰 맛집을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인간들이 어떤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웽~! 음식물 쓰레기, 98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오전 7시. 기상 알람에 맞춰 자동으로 커튼이 걷히고 그 사이로 햇볕이 쏟아진다. 그런데 오늘따라 왠지 몸이 개운치 않다. 거울 속에 나타난 개인 맞춤형 의료 인공지능(AI)이 나의 최근 영양 상태와 운동 부족 데이터를 들이밀며 경고 메시지를 띄웠다. 오늘도 아침부터 잔소리군. 현관으로 나가보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먹이사슬을 만든다. 그래서 지렁이는 ‘생태계 엔지니어’로 불린다. 심지어 전 세계
땅속
어디서나 살고 있어 생태학자들에게 지렁이는 매우 중요한 지표 동물이다.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전 세계 ‘지렁이 지도’가 최초로 공개됐다. 연구자 140명이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로부터 5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한 해가 벌써 거의 다 지나고 다시 겨울이 오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겨울은 유달리 추웠다. 이렇게 추울 때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바로 저체온증이다. 사람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항온동물이지만, 추위에 오래 노출되면 신체도 버틸 재간이 없다.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면 특이한 양상이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먹이사슬을 만든다. 그래서 지렁이는 ‘생태계 엔지니어’로 불린다. 심지어 전 세계
땅속
어디서나 살고 있어 생태학자들에게 지렁이는 매우 중요한 지표 동물이다.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전 세계 ‘지렁이 지도’가 최초로 공개됐다. 연구자 140명이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로부터 5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구조의 탄소를 ‘블랙카본’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육상에서 식물의 광합성으로 흡수돼
땅속
에 묻힌 탄소는 ‘그린카본’으로 불린다. 마지막으로 바닷가에 서식하는 식물과 퇴적물을 통해 저장된 탄소는 ‘블루카본’에 해당한다. 이처럼 블루카본은 해양에서 순환되는 탄소가 아닌 갯벌이나 ... ...
[SW 진로 체험] 수학으로 일상 속 귀중한 건강 정보 찾는다! 정화영 웰트 생체역학 엔지니어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시계처럼 차는 밴드형 웨어러블 기기가 대세다. 착용하고만 있어도 심박수나 걸음걸이 수, 활동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 기술에는 수학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가 필수다. 직접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엔지니어를 만나 진로 이야기를 들어봤다. 생체역학 엔지니어는 어떤 일을 하나요?웨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아침부터 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10월 7일, 충남 서천에 위치한 국립생태원을 찾았다. 휴관일이라 방문객 하나 없이 한산한 그곳에서 유달리 바쁘게 움직이고 있는 두 사람이 있었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의 이정현 책임연구원과 권관익 전임연구원이었다. 이날은 지난 7월 방사한 국내 ...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
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주기율표에서 탄소 바로 아래 위치한 규소. 때문에 규소를 탄소의 아류 원소 정도로 생각하는 독자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규소는 탄소가 갖지 못한 중요한 특성이 하나 있다. 바로 반도체의 성질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덕분에 규소는 현대 전자공학을 발전시킨 핵심 원소가 됐다. 정보기술(IT ... ...
[GO! GO! 고고학자]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 미국 캘리포니아 동부에 사는 ‘브리슬콘 소나무’는 가장 오래 사는 생명체로, 4850살 먹은 나무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런 나무의 나이테로 몇 천 년 전의 기후를 알 수 있어 고고학 연구에 도움이 된다. 위키피디아/Rick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는 백제 시대의 절인 왕흥사가 있어요. ‘있었다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