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로
종국
말기
여생
후년
끝
마지막
d라이브러리
"
만년
"(으)로 총 45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그동안 난제로 알려졌던 등방성 문제를 관측으로부터 해결함으로써 우주의 나이 10여
만년
때에 현재 은하나 별들의 모태가 될 수 있는 '물질섭동의 씨앗'이 존재했다는 것을 밝힌 셈이다. 물론 우주배경복사의 등방성이 깨졌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그 정도의 온도 차이가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천
만년
전에는 세토내해(瀬戶內海)가 뻗쳐 있어 해저화산을 분출했고, 수
만년
전에는 서남일본의 내대(內帶)인 상잉(上陰) 지방으로부터 이어지는 화산활동이 있었음을 알게 해준다.30
만년
전 규슈는 남·북 두개의 섬으로 분리돼 있었다. 이를 아소 수도(水道)라고 부른다. 해저에서 대분화가 일어나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맨틀로부터 솟아나온 '초용암 기둥'이 지구의 표피를 형성했을 뿐 아니라 임시로 (약4천
만년
지속됐지만)지구자장의 양극성을 안정시켰다고 가정했다. 버섯모양으로 솟아나오는 초대형 용암기둥들은 액체외핵의 움직임 속도에 따라 더 많이 나타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구다이나모의 힘에 변화를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더불어 공룡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대륙의 이동이 밝혀진 사실이다. 약 2억5천
만년
전 중생대가 시작될 무렵 오늘날의 대륙들 사이에는 바다가 없이 판지아라는 큰 대륙으로 묶여 있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약 2억년 전부터 시작된 대륙의 분열은 백악기가 끝날 무렵에는 거의 오늘날과 같은 ... ...
선거와 언론보도 어떤 관계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선거 당시에 보도보다는 이미 인상 지워진, 예를 들면 민자당은 금권(金權), 사회당은
만년
야당이라는 이미지가 더 강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물론 여당인 '민자당이 강하다'고 여론에서 보도하면 이를 믿기는 하지만 이에 따라 투표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R. Owen) 박사(1842년) 였다.고생대 마지막 지질시대인 페름기(2억8천6백
만년
에서 2억4천5백
만년
전까지)가 끝나고 중생대가 시작될 무렵에 데코돈이란 체구가 작은 파충류가 나타났다. 아마도 이 데코돈은 파충류의 맨 근원 조상인 코틸로사우루스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보인다.데코돈은 몸의 길이가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지느러미로부터 진화돼 몸체의 밑보다는 옆으로 나와있는 까닭이었다.어떤 양서류는 5천
만년
전 시신세 때 살았던 메세로바트라쿠스 개구리처럼 결국은 튼튼하고 효율적인 다리를 발달시켰다. 화석모양으로 남아있는 경우 이 개구리는 마크 트웨인의 소설에서 나오는 놀라운 현대의 높이뛰기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라고 부르기도 한다.설령 빙기가 다시 돌아온다고 해도 그것은 적어도 수천년 혹은 수
만년
후의 일이 될 것이다. 때문에 절박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더구나 인간의 힘으로 이룩되고 있는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좋은 의미이든 혹은 나쁜 의미이든 간에 자연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단계에 ... ...
1 제철용 코크스에서 우주정거장까지 날로 확대되는 탄소의 영역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연상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탄소가 인류와 첫 대면을 하게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10~40
만년
전인 구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인류가 불을 사용하기 시작한 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후 구석기 후반인 4~10
만년
전 경에는 인공적으로 불을 피우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검은 ... ...
로키 고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수분이 공급되는 곳에서는 소나무 전나무 등 침엽수를 볼 수 있다. 여름철에도
만년
설로 인해 경승지를 이룬다. 또한 빙하호수와 빙하가 직접 운반하고 퇴적시킨 빙력토를 볼 수 있는데 평평하고 단조로운 지형을 이루었다. 현재도 한냉한 조건에서는 식생이 부족하고 석산이 예리하게 돌출해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