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제"(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규태 교수는 “리튬이온 배터리만큼 성능이 뛰어나면서도 사고 위험, 원료 수급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가 개발된다면, 지금까지 상상하지 못한 새로운 시스템일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성능이 뛰어나면서 재활용도 잘 되는 차세대 배터리는 언제쯤 세상의 빛을 볼까요. 답은 ...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섞인 폐수가 발생해 주변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소행성 채굴은 이 같은 비용, 환경 문제가 적다. 소행성에서 희토류를 채굴한다면 땅을 적게 파고도 충분한 양을 얻을 수 있다. 1967년 체결된 국제 우주조약도 민간 기업 중심의 소행성 자원 채굴을 뒷받침한다. 우주조약은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거쳐 가는 증폭매질이나 거울 등 광학 장비가 에너지를 견디지 못하고 깨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CPA 기술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에돌이발(회절격자)을 이용해 레이저를 파장에 따라 분리한다. 파장이 짧은 빛은 에돌이발을 통과한 뒤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려지고, 파장이 긴 빛은 속도가 ...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블랙홀이 에너지 분출 흔적으로 이런 거품을 남겼으리라 추측해왔다. 다만 한 가지 문제가 있었다.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은 현재 너무나 조용하다는 점이다. 난폭한 활동성을 전혀 볼 수 없다. 그래서 일부 천문학자들은 페르미 버블과 이로시타 버블은 수억 년 전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이 아주 ... ...
- [논문탐독] 확장현실 몰입감을 끌어올리다, 감각 증강 시스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인식해야합니다. 먼저 인체의 근육에 기반하므로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로도 증가의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근육의 양과 위치 등이 조금씩 다르므로 사용 전에 전기 세기, 주파수 등을 조정해야하죠. 게임을 하며 자극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주기를 만드는 등, 자극 조정의 자동화 기술을 ... ...
- [꿀꺽! 수학 한 입] 만약에 ×,÷,=이 없었더라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지금은 네가 살던 시대로부터 약 3000년 전이다. 이곳은 고대 세계지! 점토판에 적힌 문제를 풀면 네가 원래 살던 시대로 되돌려 주마.”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꿀꺽! 수학 한 입] 만약에 ×,÷,=이 없었더라면?Part1. [꿀꺽! 수학 한 입] 이집트 왕국의 나눗셈Part2. [꿀꺽! 수학 한 입] ... ...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교수실과 학생들의 연구실 모두 이곳에 있지요. 3층에는 공용 공간이 있어서 서로 수학 문제를 의논하거나 쉴 수 있어요. 파인홀이 하나 더 있다? 파인홀 5분 거리에는 1969년 이전까지 수학과가 사용하던 건물이 있어요. 1930년에 지어진 이 건물은 파인을 기리기 위해 ‘파인홀’이라는 이름이 ... ...
- DAY2. 아인슈타인의 흔적을 찾아 고등연구소로!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출퇴근 시간도 따로 정해져 있지 않고, 심지어 두 달 동안 아무 말 없이 휴가를 다녀와도 문제가 되지 않아요. 그럼에도 연봉 같은 재정적인 지원과 연구실, 심지어 숙소까지 제공해주기 때문에 연구하기 최적의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장점은 학계에서 이름을 떨친 전 세계 수학자가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최적화입니다. 최적화는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항목의 최솟값 혹은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인데, 이걸 해결하는 도구 중 하나가 바로 미적분입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적 측면에서는 어떤 한정된 자원 안에서 최대한 많은 이윤을 남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구하는 의사결정은 최적화를 통해서 ... ...
-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고 친환경 로켓 발사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즉 아래에서 어마어마한 무게를 버티는 것이 아니라 저 위에서 장력을 견디는 원리다. 문제는 길이 36,000km가 넘는 거대한 구조물의 장력을 버티는 재료로 현재까지 고순도 탄소 나노 튜브가 유일하다는 점이다. 이런 고순도 탄소 재료를 우주 엘리베이터에 사용할 정도로 충분히 길게 그리고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