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그대로 보여 준다고‘네이처’에 발표했단다. 박사팀은 그림에서 어떤 두 지점의
밝기
가 같을 확률은 두 지점이 떨어진 거리를 제곱한 비율로 줄어든다는 걸 알아 냈어. 이건 난류를 다루는 유체역학에서 중요한 법칙인 ‘콜모고로프 척도’와 일치해. 정말 놀랍지?연구팀은‘프로방스의 시골길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구분했다 즉 맨눈으로 관찰 가능한 가장 어두운 별이 6등성이다 그후 1등성과 6등성의
밝기
는 약 1백배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망원경을 사용하면서 6등성보다 어두운 별도 발견됐고, ... ...
홈즈 혜성, 태양보다 더 커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례적”이라고 밝혔다. 홈즈 혜성은 2007년 12월 내내 페르세우스자리에서 3~4등급 정도의
밝기
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어두운 곳에서 맨눈으로도 뿌연 혜성을 관측할 수 있지만 쌍안경을 이용하면 뿌연 개구리알 모양을 확실하게 볼 수 있다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f수가 고정돼 있으나 카메라는 변화가능하다 조리개를 좁혀서 f수를 2배, 3배로 하면 상의
밝기
는 1/4, 1/9로 줄어든다 카메라 필름 면이 받는 빛의 양은 f수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f수의 역수를 구경비라 한다 특수반도체 소자에서 홀(hall) 저항이 극저온, 고자장하에서 양자화 되어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유전자가 X염색체에 존재하므로 남자에게서 발생빈도가 더 높다.눈의 망막에는 빛의
밝기
를 감지하는 간상세포와 형태와 색을 구분하는 추상세포가 존재한다. 우리는 수많은 색을 볼 수 있지만 추상세포가 가장 잘 느끼는 색은 빛의 삼원색인 빨강, 녹색, 파랑이다. 이 세 가지 빛을 적절한 비율로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최대 -1.6등급까지 밝아진다.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큰개자리 시리우스에 버금가는
밝기
다. 고도도 약 70°로 매우 높아 관측 조건도 매우 좋다.지구에서 화성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는 얼마나 자주 올까? 화성은 태양계의 행성 가운데 금성 다음으로 지구에서 가까이 있지만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이를 기준으로 하면 일등성의
밝기
는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
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마이너스로 표시한다 가령 태양은 -267등급, 보름달은 평균 -125등급이다 포유류의 우제목(偶蹄目)에 속한 되새김동물 낙타과(科) 애기사슴과 사슴과 기린과 소과 등의 동물이 여기에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세레스는 가장 밝을 때가 7등급으로 맨눈으로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쌍안경을 이용하면
밝기
가 7등급 이상인 별까지 표시돼 있는 별자리 지도를 참고해 세레스를 쉽게 찾을 수 있다.별자리 지도에 나타나 있지 않은 7등급 천체가 있다면 세레스라고 봐도 무방하다. 만약 그 천체가 정말 세레스인지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차에 따라
밝기
가 변하며 무늬를 나타낸다. 빛의 간섭효과로 나타난 상에서 각 지점의
밝기
차를 거꾸로 계산하면 미세한 박막의 두께나 길이를 알아낼 수 있다김 단장은 “물체에 쏘는 빛의 면적을 넓히면 LCD 박막 표면의 일정 부분을 ‘통으로 찍듯’ 한꺼번에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며 “현재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도는 동안 어린이들은 스타샤인 홈페이지에서 가르쳐 주는 시간과 장소에서 1등급
밝기
로 깜박이며 지나가는 ‘별’을 볼 수 있었다. 스타샤인은 2000년 2월 18일 지구를 4212번 돌고, 브라질 연안의 대서양 바다 위 80km 상공에서 불타 없어졌다.그 뒤 스타샤인 2·3호가 2001년에 발사됐다. 여기에는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