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d라이브러리
"
변이
"(으)로 총 628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있다. 개인별 맞춤약물치료란 약물이 정상적으로 듣지 않는 환자의 유전자를 검사해 돌연
변이
가 있는지 밝히고, 그 환자에게 알맞은 복용량을 찾아 적용하는 방법이다. 결국 약물의 부작용은 최소로 줄이고 효과는 최대로 높이는 셈이다. 그는 혈액을 뽑아 유전자 검사를 받은 뒤에야 왜 와파린이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이 도형은 임의의 꼭짓점에 연결된
변이
모두 짝수 개다. 오일러 경로는 꼭짓점에 연결된
변이
홀수 개인 점에서 시작해 모든 변을 다 돌고 다른 홀수 개인 점에서 끝나는 도형으로 시작점과 끝점을 빼고 모두 짝수 개의 점으로 구성된다.모든 길을 다 지나갈 필요는 없다 오일러 회로와 경로는 모든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
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교수팀은 유전적으로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가계를 조사하다 이들이 per2 유전자에 돌연
변이
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가족성 전진성 수면위상 증후군(FASPS)’라고 불리는 이 증상은 저녁 7시만 되면 잠이 쏟아지고 다음날 새벽 4시쯤 깬다. 다른 사람보다 일주 리듬이 3~4시간 앞당겨져 있으니 늘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미국 뉴욕 스토니브룩대 프레드 그린 박사도 “버거 박사팀이 아프리카누스끼리의 개체
변이
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두 화석 중 하나가 미성숙한 나이이기 때문에 해부학적 특성이 성인과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전문가들은 “세디바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의 중간 단계가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UCUU’와 ‘UCCU’처럼 염기 4개로 이뤄진 변형 tRNA를 만든 뒤 이들을 인식하는
변이
리보솜을 선별했다. 자연 상태의 리보솜은 이렇게 구조가 많이 변형된 tRNA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염기 4개가 한 코돈이 된다면 모두 256가지(=44) 코돈 조합이 나올 수 있다. 연구자들은 “각각에 맞는 변형 tRNA를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굳어지는 데도 그만한 이유가 있는 셈이다.사람이 갑자기 돌이 되는 급격한 화학적
변이
는 현실에서는 일어나기 힘들다. 암석은 크게 퇴적암과 화성암, 그리고 변성암으로 나뉜다. 퇴적암은 물과 바람에 실려 이동해온 광물이 낮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쌓여 형성된다. 화성암은 땅 속 높은 ... ...
내 얼굴이 홍당무처럼 빨개진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술을 마시는 문화가 생기면서, 알코올의 해로움을 경고하기 위해 몸이 스스로 유전적
변이
를 일으켰다고 생물의학 저널인 ‘BMC 진화생물학’ 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따라서 술을 마셨을 때 얼굴이 붉어지는 성향은 유럽인보다 아시아인에게 더 크게 나타난다고 추정할 수 있다.얼굴 빨개지는 현상도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또한 ft 돌연
변이
체에 이 유전자를 넣어주자 늦게 꽃피는 특성이 사라졌다. 돌연
변이
체에서 손상된 유전자와 1733에서 활성화된 유전자가 동일하다는 결정적인 증거였다.연구결과 FT는 개화과정 네트워크에서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현화식물(속씨식물), 즉 꽃피는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변이
지도를 분석해 바이러스가 서쪽방향으로 전파하면서 사람들에게 전염되도록
변이
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철새를 통해 자연적으로 이동할 뿐 아니라 새를 수입하거나 수출하는 인위적인 과정에서도 이동하고 있음을 추가로 밝혀냈다. 지도가 없었다면 나올 수 없는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창문은 왜 높은 곳에 달려 있을까. 밑에서부터 4.16m 되는 곳의 몸통 허리 부분에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 창문이 달려 있다. 일반 건물과 달리 창문의 위치가 높아 출입이 어렵다. 이런 이유로 첨성대가 관측소가 아니라 기원을 올리는 제단이라는 주장이 많다. 이에 일부 학자들은 천체관측이 신성한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