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비스"(으)로 총 1,6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견한 음펨바 효과최근 몇 년간 러시아나 북유럽 등 추운 지방에서 유행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증샷이 있다. 바로 뜨겁게 끓인 물을 공중에 뿌린 뒤 물이 얼어붙는 장면을 담은 것이다. 인증샷을 찍으려다가 끓인 물을 잘못 뿌려 화상을 입는 사례가 속출하기도 했다.이들 인증샷은 뜨거운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비롯해 발전소, 급수 시스템과 폐기물 관리, 법 집행, 학교, 도서관, 병원까지 모든 서비스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돌아간다. 개인의 삶 전체에 정보통신기술이 녹아 있는 도시인 셈이다. 그런데 만약 스마트시티가 해커의 공격을 당한다면 어떻게 될까. 스마트시티의 모범 사례로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필터링’이라는 방법을 활용해 내게 맞는 정보를 추천합니다. 사실 IT 기반 모든 추천 서비스가 이 방법을 써요. 그게 뭐냐고요? 지금 바로 설명할 테니 놓치지마세요! 집단 지성의 힘! 협업 필터링협업 필터링은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들이 좋아하는 콘텐츠를 서로에게 추천하는 기술이에요. 나와 ...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그 환상은 대부분 깨졌어요. 빅데이터가 진짜 제대로 쓰이려면 잘 정제돼야 하고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하죠.” _김동규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데이터가 많을수록 그 속에서 제대로 정보를 찾는 것이 중요하고, 다음엔 정제한 데이터를 어느 문제에 연결할지 고민해야 빅데이터를 제대로 ... ...
- [SW 진로 체험] 수학으로 일상 속 귀중한 건강 정보 찾는다! 정화영 웰트 생체역학 엔지니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시계처럼 차는 밴드형 웨어러블 기기가 대세다. 착용하고만 있어도 심박수나 걸음걸이 수, 활동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 기술에는 수학을 기반으로 ...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에 있습니다. 현재 약 3,000만 건의 데이터를 모았죠. 어떤 유용한 서비스를 만들지 계속 고민하고 있답니다 ...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반도체로 구분해왔습니다.반면 지능형 반도체는 인식과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공지능(AI) 서비스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반도체를 결합한 반도체입니다. 향후 전자산업 전 분야에 이런 지능형 반도체가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지능형 반도체 개발은 미국의 퀄컴, 대만의 ... ...
- 실전 상황! 꽉 막힌 도심에서 파티장에 도달하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대 통화량이 몰리는 지역을 지나는 노선을 제안했다. 통신 기반의 위치 데이터와 교통 서비스를 연결한 이 아이디어는 대통령상을 받고 대중교통 혁신모델로 알려졌다. 급행 도시철도 노선? 운행 부담이 큰 급행 도시철도, 얼마나 운행해야할지 모르겠네! 교통카드 태그 기록과 환승 정보로 빨리 ... ...
-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확인했다. 이들 중 연락이 닿지 않는 사람이 4명 있었는데, 그중 한 명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게시물에서 현장에서 발견된 반지와 일치하는 사진을 찾았다. 이후 부모의 DNA와 대조 검사를 통해 변사자의 신원을 확인했다.이처럼 변사자의 의복이나 소지품부터 흉터, 점, 머리카락, 수술 자국, ... ...
- 여기는 국내 유일 특성화고 전문 채널!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지원하고 교육하는 곳이죠. 그래서 특성화고의 종류는 다양한 직업에 맞춰 상업, 공업, 서비스업, 농업, 수산업 등 여러 분야가 있고 학비도 전면 무료예요. 자신의 꿈이 확실하고 좋아하는 분야가 뚜렷한 학생이라면 꿈을 이루기에 특성화고가 적합하겠죠? “모든 사회 구성원이 대학까지 꼭 ... ...
- 엇, 이게 죽어? ‘랙’ 없는 온라인 게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게임 서버 간에 신호가 오가는 지연시간을 ‘레이턴시(latency)’라고 부른다. 온라인 게임 서비스 기업인 넥슨에서 ‘바람의 나라’ ‘엘소드’ 등 인기 게임을 개발한 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는 “아무리 반응 속도가 빠른 컴퓨터가 나온다 해도 레이턴시가 아예 없는 건 불가능하다”고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