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균관"(으)로 총 42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기 먹고 체하면 능이, 감기엔 표고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신라 선덕여왕 3년(704년), 금지(金芝)와 서지(瑞芝)를 진상물로 왕에게 올렸다.”김부식의 역사서 ‘삼국사기’(1145)에 나오는 내용으로 버섯에 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이다. 금지는 나무에서 나는 버섯(목균)을, 서지는 지상에서 나는 버섯(지상균)을 각각 의미하지만, 현재 정확한 종은 알 수 ... ...
- 논술로 수시 2학기 공략하라과학동아 l2008년 09호
- 커졌다. 지난해까지는 논술만으로 선발하는 대학이 없었지만 올해는 경희대, 고려대, 성균관대, 숙명여대가 논술 100% 전형을 도입했다. 이화여대와 한양대가 80% 이상을 반영하며 건국대, 서강대, 중앙대가 60% 이상, 연세대가 50% 이상 논술을 반영하는 전형을 내놓았다. 대학마다 논술 유형이나 분량이 ... ...
- PART3 수식으로 예측한 박태환 2관왕 가능성과학동아 l2008년 08호
- 베이징올림픽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한국의 메달 가능성을 소개하는 뉴스가 매일 쏟아지고 있다. 여러 금메달 후보 중에서 스포트라이트를 가장 많이 받는 선수는 단연 박태환이다. 출중한 외모와 온화한 성품뿐만 아니라 세계 정상급 선수와의 경쟁에서 전혀 뒤지지 않는 수영실력을 갖추고 있 ... ...
- 1. 축제로 들뜬 CERN의 사람들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연구에도 한국인의 참여가 활발하다. 석 달 전 CERN에 입성한 서현관 박사는 2006년 성균관대에서 입자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데이터 퀄러티 모니터링’ 그룹에서 데이터가 감지될 때 실시간으로 데이터와 검출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서 박사는 “LHC 가동 ... ...
- 2. '신의 입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중성미자도 미사(mass)를 엽니까? 중성미자들이 가톨릭 신자인지는 미처 몰랐는데요!” 소설 ‘다빈치 코드’(2003년)의 전작(前作)인 ‘천사와 악마’(2000년)에는 이런 대목이 나온다. ‘mass’가 질량과 가톨릭 미사라는 뜻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데서 작가가 말장난을 쳤다. 과학적으로 고쳐 쓰면 ... ...
- 벌레가 먹는 버섯이라고 식용은 아니다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여름철 장대비가 내리고 나면 숲속 여기저기에서 수많은 종류의 버섯이 고개를 든다. 어디에 숨었다가 돋아나는지 신비스럽기만 하다. 사실 알고 보면 버섯은 땅속이나 낙엽 속에 균사체로 있다가 비가 내린 뒤 촉촉하게 습기가 있을 때 자실체(버섯)를 만들고, 자손(포자)을 멀리 전파하기 위해 ... ...
- INTRO 지상 최대 '입자 쇼' 개막과학동아 l2008년 07호
- 뒤 국내 연구팀도 LHC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 연구진 60여 명 참여최영일 CMS사업단장(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을 대표로 고려대, 경북대, 서울시립대 등 13개 대학팀에서 60여명의 연구진이 CERN을 오가며 현재 연구를 진행 중이다.최 단장은 “한국 연구팀은 CMS 검출기 조립과 검출기에서 얻을 ...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과학동아 l2008년 06호
- 경우 변형 프리온의 유전자형에 따라 잠복기가 다를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성균관대 의대 정해관 교수는 “변형 프리온이 MM형인 사람은 MV형이나 VV형보다 잠복기가 짧다”며 “앞으로 MV형이나 VV형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여태까지 인간광우병(vCJD) 환자의 변형 ...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제주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식용버섯 중에 말똥버섯이라는 게 있다. 이 버섯은 이름처럼 섬에 많이 사는 말이 싸놓은 똥에서 자란다. 말똥버섯(큰갓버섯)에서 떨어져 나온 포자(씨앗)는 바람에 실려 날아다니다 풀잎 위에 떨어지고 소나 말이 이 풀잎을 먹을 때 동물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포자는 ...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과학동아 l2008년 03호
- 땐 나노물리학을 연구하는 과학자가 되고 싶었다. 다양한 꿈을 꾸는 희원 양은 현재 성균관대 약학과에 재학중이다. 대학을 졸업하면 약사가 될 수 있지만 희원 양의 꿈은 약사가 아니다. 다른 진로를 찾고 싶던 차에 부광약품 품질관리팀 최소희 부팀장을 만나 가능성을 찾았다. 그는 충북대 약대를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