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실"(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쿨리포트 A+] 과학실 안전과 연구 윤리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1년 동안 사용할 과학실의 안전시설에 대한 사용법이나 실험실 내 물품에 대한 위험도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 교내 과학실에 있는 물품에 대한 취급법이나 안전시설에서 부족한 점을 발견했다면 이를 보고서나 발표를 통해 잘 전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
- [한장의 과학] 웃는 도롱뇽 아홀로틀, 멕시코 지폐 모델 데뷔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인기를 얻으면서 전 세계 곳곳에서 반려동물로 키우고 있고, 재생 능력이 뛰어나 실험실에서 연구용으로도 쓰인답니다. 이처럼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야생에서의 아홀로틀은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요. 아홀로틀는 원래 멕시코시티의 소치밀코 호수와 찰코 호수에 서식했어요. 그런데 도심의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32nm 이하로 줄이는 등 고순도 퀀텀닷 개발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교수는 “현재 실험실에서는 인화인듐 퀀텀닷의 효율을 카드뮴 퀀텀닷과 유사한 정도까지 끌어올렸다”며 “퀀텀닷을 이용하면 순도 높은 색을 표현하면서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보다 더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 ...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달라 수업 분위기도 꽤 다르다. 교양학부 때는 코마바 캠퍼스에서 수업을 듣는데, 실험실과 연구실은 거의 없고 대부분이 강의실이다. 그래서 대학에 막 입학한 신입생은 대형 재수학원에 온듯한 인상을 받는다. 1교시부터 내내 강의실에 앉아서 듣기만 하는 수업이 많은데, 일본인 친구들마저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물질, 즉 식욕을 억제해 적게 먹도록 하는 호르몬이다. 1973년 더글라스 콜먼 미국 잭슨실험실(The Jackson Laboratory) 교수는 고도비만 또는 당뇨에 걸린 생쥐에 있는 obese(ob)와 diabetes(db) 유전자 돌연변이를 연구하면서 ob 유전자가 만들어 낸 혈중 OB 단백질이 db 유전자가 만들어 낸 DB 단백질에 작용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대로 끌어올리는 것에서 끝나지 않는다. 세 가지 색 소자가 모두 함께 있을 때도, 그리고 실험실이 아닌 공장에서 만든 디스플레이에도 그만큼의 발광 효율을 내게 하는 게 목표다. 더불어 디스플레이에는 퀀텀닷 입자만 있는 게 아니라 그 퀀텀닷을 전극, 전자 수송층 등의 여러 물질이 둘러싸고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철수최초의 퀀텀닷은 카드뮴에서 나왔다. 1982년 최초로 발견된 퀀텀닷도, 1993년 처음으로 실험실에서 합성하는 데 성공한 퀀텀닷도 모두 카드뮴이 핵심 원재료다. 카드뮴은 은백색의 금속으로, 칼로 자를 수 있을 만큼 부드러워 변형하기 쉽고, 전기전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물질과 ... ...
- 코로나19 백신 & 치료제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연구원 10여 명이 각종 실험장비 앞에서 실험에 열중하고 있었다. 서늘한 공기가 가득한 실험실은 이따금씩 들려오는 실험장비 소리와 작게 의논하는 소리 외에는 적막이 흘렀다. 연구원들은 기자가 연구실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중에도 기자에게 눈길 한 번 돌리지 않았다. 4월 8일 경기도 성남시 ... ...
- "원숭이에게 DNA 백신 시험 중"…코로나19 백신 개발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영장류 동물시험을 진행 중이다. 실험은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제넨바이오 영장류실험실에서 이뤄진다. 면역반응은 다양한 세포가 상호작용하면서 이뤄져 세포실험만으로는 확인하기가 어렵다. 동물실험이 필수다. 일반적으로 백신 효능 동물실험은 쥐를 통해 이뤄진다. 먼저 후보물질을 쥐의 ...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열풍건조, 마이크로파건조, 그리고 동결건조 등 일반적으로 3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실험실에서는 모양과 색에 변화가 거의 없는 동결건조를 이용하지만, 실제 농가에서는 동결건조 단가가 비싸 열풍건조나 마이크로파건조를 이용한다. 어떤 건조 방식이든 곤충 성분상의 변화는 거의 없다. 다만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