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도
매스컴
연설
언론기관
기관
d라이브러리
"
언론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28위를 차지했다. 30위권 내에 진입한 첫 사례다. 포스텍은 그러나 이제 국내외 기관이나
언론
사의 대학평가에 연연하지 않는다. 학생들을 점수에 연연하지 않고 선발하듯 대학평가 순위 ‘몇위’보다 기초과학 분야 연구중심대학의 ‘클래스’를 보여주는 것이 목표다. 특히 아프리카, 아시아 등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전공 분야를 대학에서 공부했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철학과나 경영학과, 공대를 나와도
언론
분야를 공부해서 피디를 할 수 있다. 실제로 방송사의 현직기자나 피디들의 전공은 매우 다양하다.“일단 영어를 잘해야 해. 피디 뿐만 아니라 입사시험에 영어가 빠지는 곳은 없단다. 영어는 잘해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발생한 이유는 뉴스가 전달되는 과정이 줄었기 때문이다. 보통 사건이 일어나면 뉴스는
언론
을 거쳐 독자와 시청자에게 전달(아래 ❶)된다. 하지만 SNS를 이용하면 새로운 소식을 만든 사람이 직접 거의 실시간으로 뉴스를 독자에게 전할 수 있다(아래 ❷). 또 예전에는 뉴스를 받아보기만 했던 ... ...
사회적 이슈에서 연구주제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충실하게 만들 다양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뉴스에서 과학적인 주제 잡기 요즘은 누구나
언론
이나 인터넷 매체 등을 통해서 과학적인 주제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사람이 연구한다. 실제로 영재학교나 과학고에 응시하는 많은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바뀐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의 심리학자 사라 라자 박사팀은 법관과
언론
인 등 지식인을 대상으로 하루 40분씩 짧게는 2달, 길게는 1년 정도 명상을 하게 했다. 그 결과 이들은 스트레스가 감소돼 기분이 좋아지고 사고가 명료해졌다고 대답했다. 또 어려운 상황에 놓여도 흔들리지 ... ...
“난 인간과 세균의 중매쟁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뚫고 성공하는 이야기다. 이 교수에게 슬쩍 물어보자 “난 그런 거 없다”고 강조했다.“
언론
은 그런 이야기 좋아하죠? 그런데 난 싫어요. 실제로 그런 것도 없고. 아직도 ‘월화수목금금금’의 신화를 과학자에게 요구하는데 그거 잘못된 거라고 생각해요. 과학자들이 그렇게 놀지도 못하고 일만 ... ...
Does SNS Make Your Brain Bigger?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못할 뿐 아니라 불안한 자아정체성을 가진다”고 말해서 논란이 됐다. 본고는 해외
언론
의 과학기사를 참조해, 한국 학생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수정 및 재편집한 글입니다 ... ...
Depression increases Self-Hatred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지난 10월에 발표된 자기혐오와 우울증에 대한 연구는
언론
과 과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이번 호에서는 뇌과학과 우울증에 관해 알아보자. They say there’s a fine line between love and hate,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same brain circ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국제 공동연구팀이 9월 23일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여러
언론
에서 이 발견으로 물리학의 근간인 상대성이론이 깨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시간여행이 가능할 것이란 기대감도 커졌다. 이 현장에 아인슈타인 박사가 타임머신을 타고 가봤다.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이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큰 전화와 태블릿의 차이를 알려달라면서 아이패드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각종
언론
에서도 아이패드는 기존에 나왔던 태블릿PC처럼 실패할 거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쏟아졌다.하지만 아이패드는 발매된 지 8개월만에 8000만 대라는 전자기기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팔렸다. 잡스가 혁명적인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