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뉴스] 그림에 숨겨진 아기천사, 350년 만에 나타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즉, 그림이 완성되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누군가 물감을 덧칠했다는 뜻이지요. 연구자들은 덧칠을 벗겨내기로 했고, 2018년부터 3년 동안 전자현미경과 메스로 물감과 변색된 광택제●를 벗겨냈어요. 복원된 그림은 큐피드는 물론, 원래의 화사한 색감까지 되찾았지요.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취재]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에 외치다! 시티뱃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오후 4시 경 동굴과 지하 서식지의 생물다양성과 박쥐의 역할에 대해 발표한 필리핀 연구자에 이어, 지구사랑탐사대의 발표가 시작됐어요. 영상을 본 카리나 마리는 “미래 세대들이 박쥐의 중요성을 배운다니 정말 놀랍다”며, “한국의 미래 세대는 앞으로 더 멋진 일을 할 것”이라고 소감을 ... ...
- [특집] 다녀왔다! 상온얼음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이근우, 이윤희 책임연구원이 어두침침한 실험실에서 설명을 시작했어요. 두 연구자의 등 뒤로 복잡한 기계 장치가 어렴풋이 보였지요.이근우 연구원은 “상온얼음은 대기압의 1만~100만 배인 고압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극한측정연구팀의 연구 주제 중 하나”라고 알려줬어요. 이런 고압은 어떻게 ... ...
- 지구사랑탐사대 온클 꿀팁 대 방출! 지사탐으로 슬기로운 여름방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우는지 알아보는 탐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8월 28일에는 유튜브에서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이 모여 이야기하는 국제 박쥐의 밤이 열린답니다. 지사탐도 참여할 계획이니 공지사항을 확인해 주세요!” [지사탐 AS쇼]탐사가 어렵나요? 이렇게 해 보세요.지사탐 본부로 대원들의 메시지가 ... ...
-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주 목요일엔 개미 탐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생겼어요. 매달 8일엔 다리가 8개인 거미 기록을 꼭 올려 주세요. 원데이 미션 세 번째 연구자는 거미가 어떤 생물과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하고 있는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김대희 연구원이에요. 질문1 거미를 무서워하는 친구들이 많아요. 거미의 매력에 대해 알려주세요.거미는 생김새가 ... ...
- [과학뉴스] 이끼도롱뇽, 빙하기 추위 피하다 한국에 눌러앉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한국에서만 살아남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어요. 덧붙여, 지구사랑탐사대 도롱뇽 연구자인 전종윤 연구원은 “지사탐처럼 시민들의 힘을 합할 때 우리나라가 생물보전의 강국이 될 수 있다”고 당부했답니다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분야가 전체 발표 논문의 42.6%를 차지해 비중이 높았다. 북한을 대표하는 기초과학 연구자로는 북한의 수재(엘리트)교육체계를 거쳤다는 김광현 국가과학원 물리학연구소 연구사 등이 있다. 북한은 폐쇄적인 국가지만, 적어도 과학기술계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의지가 강하다. 북한의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잠수함을 검증한 기술로 전기선박에 도전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손홍관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응용연구본부장은 선박 분야에서 이 같은 변화를 꾀하는 연구자다. 11월 11일 경남 창원 한국전기연구원 본원에서 그를 만나 선박에 전동화가 필요한 이유를 물었다.“한국을 포함해 세계 여러 나라들이 연안에서 선박의 황산화물 배출을 제한하는 배출규제해역(ECA)을 ... ...
- [지구사랑 탐사 현장 취재] 전기차, 매미, 개구리를 살리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함께하고 있는 색다른 프로젝트지요. 오늘은 2기 시민과학풀씨 연구자들의 첫 번째 강연으로 배고픈 전기차, 바다개구리, 풀매미를 위한 시민과학이 주제였는데요, 어떤 이야기가 오갔을까요? 배고픈 전기차에게 밥을 선물해 주세요!“환경을 지키는 전기차에게 밥이 ... ...
- “초기 우주의 블랙홀 및 은하의 생성과정을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활동성은하가 초기 우주의 중성 수소를 이온화하는 정도를 파악하는 프로그램에 공동연구자로 참여합니다. JWST 관측이 현재 연구에 어떻게 도움을 주나요 JWST의 거울 크기는 앞선 HST보다 3배 가까이 크고, 적외선 감도도 뛰어나 먼 우주에서 오는 희미하고 적색이동된 빛을 검출하기 유리합니다.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