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윤활주머니의 첫 글자를 따서 B림프구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B림프구는 성숙과정에서 유전자 재조합이 활발히 일어나고, 이를 통해 수많은 항원에 대응하는 다양한 항체를 생산한다. 혈액 내 전체 림프구 중 B림프구는 10~15%를 차지하며, 주로 림프절과 같은 림프 기관에서 대기하며 항원의 침입에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워봤지만 결국 증명하지 못했다. 나중에 밝혀진 실패 원인은 HPV가 워낙 여러 종류의 유전자가 존재하는 바이러스였기 때문이었다. 참고로 지금까지 밝혀진 HPV의 종류는 130여 가지다. 1979년 추어하우젠이 이끄는 연구팀은 HPV 6형과 11형의 DNA를 확인했다. 그리고 1983년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HPV 1 ...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다. 1990년대 후반, 돌연 기존 연구 분야와는 전혀 다른 신경과학 분야로 넘어가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연구 중이다. 그는 2013년 뇌 신경세포가 어떻게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내는지를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2014년에는 기억이 복원되는 과정을 ‘네이처’에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쌍둥이인 소를 대상으로 서로의 피부를 이식한 뒤 변화를 살폈다. 당시 연구자들은 유전자가 100% 같은 일란성 쌍둥이 소에서는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이란성 쌍둥이 소에서는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모두의 예상을 깨고, 두 경우 모두 면역거부반응이 없었다.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큰 장점은 서브유닛 백신과 비교해 부족했던 면역 반응 유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유전자 수준에서 설계하고 생산하기 때문에 단백질 정보도 원하는 대로 변형할 수 있다. 또 바이러스를 파쇄해 항원을 얻는 게 아니라 항원을 직접 생산하기 때문에 백신에 불순물이 포함될 여지가 거의 없다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표적인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로 다양한 돌연변이를 만든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유전자형에 따라 사람을 감염시키거나 박쥐, 쥐, 소, 낙타 등 다양한 동물을 감염시킨다. 그간 인체 세포에는 침투하지 못하고 동물만 감염되는 코로나바이러스는 국가연구소나 제약회사의 중요한 연구대상이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분절된 유전체를 가진 바이러스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이는 유전자 중 항원 단백질이 완전히 새로운 아형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 때문에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신종으로 모습을 바꾸고, 주기적으로 유행을 일으킨다. 항원소변이는 유전체에 돌연변이가 생기는 ... ...
- 코로나19 팩트체크┃누가 인간에게 옮겼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제기됐지만, 명확한 근거는 없었다. 최근 펑가오 미국 듀크대 메디컬센터 공동연구팀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박쥐와 천산갑의 코로나바이러스 사이에서 만들어진 잡종 바이러스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와 ...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유에서인지 독립된 삶을 포기하고 다른 세포에 기생하게 됐고,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유전자들을 버려 지금과 같은 작은 크기가 됐다고 설명한다. 그래서 최근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조상의 모습과 가깝다고 본다.하지만 2017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거대 바이러스가 고대에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반으로 오류를 바로잡을 기회가 있다. 이를 DNA 복구 기작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유전자를 복제할 때 염기서열 100만 개에 1개 꼴로 오류가 발생하지만, DNA 복구 기작으로 교정하면 오류가 10억 개당 1개로 줄어든다.그런데 RNA 바이러스는 보통 오류를 수정하는 기작이 없다. 코로나19의 원인인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