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d라이브러리
"
육지
"(으)로 총 886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해양 미션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존재했던 ‘해저도시’가 절실해진다. 현재 과학과 기술이 해저도시를 만들 수 있을까.
육지
에서처럼 편안하고 안전한 바다 생활이 보장될 수 있을까. 비현실적이고 불가능한 상상을 가능케 하는 과학과 공학의 세계 속으로 ‘풍덩’ 빠져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 미션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 있다.사람이 살기 위한 환경을 만들려면우선 물과 산소, 에너지가 필수적이다. 이를
육지
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식수와 생활수는 해수담수화 설비를 주변에 설치하면 된다. 산소는 전기분해 설비를 설치하거나 녹조류의 광합성을 활용한다.전기에너지는 100가구가 사는 데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만저만이 아니다.해상풍력 발전기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해저에 파묻은 케이블을 통해
육지
로 이동한다. 지나가던 배가 닻을 내리거나 해류, 혹은 어류의 움직임에 케이블이 손상될 우려가 있어 해저면으로부터 1.5m 깊이의 땅굴을 판 뒤에 케이블을 묻는다.케이블 위에는 콘크리트로 만든 뚜껑을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는 중이에요. 상대를 위협하는 모습이죠. 짱뚱어는 아가미 말고도 폐로 호흡을 해서
육지
와 바다를 넘나들며 살 수 있답니다. 눈싸움은 즐거워~오랜만에 내린 눈이 반가워서 친구들과 신나게 눈싸움이라도 한 걸까요? 독수리들은 먹이를 차지하기 위해 발로 눈을 헤치며 눈싸움을 하곤 해요. 사진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다.2000년대 이후 유럽과 북아메리카 일부 항구에는 크루즈에
육지
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고 있다. ‘세계항구기후계획’에 따르면, 이 설비를 쓸 경우 이산화탄소는 절반, 대기오염물인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은 각각 96%와 97% 줄일 수 있다.이튿날인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것이 ‘외로운 조지’다. 외로운 조지는 1971년 겨울 작은 핀타섬에서 발견된 마지막
육지
거북이었다. 같은 섬에서 암컷을 찾아보려는 시도는 모두 실패했고 결국 다른 섬에 살던 두 마리의 암컷과 함께 살고 있다.그러나 각각 1958년과 1959년 설립된 갈라파고스 국립공원과 찰스 다윈 재단은 오랫동안 ... ...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며 산소를 방출했다. 결국 대기에 산소가 풍부해지면서 물속에만 살았던 생물이
육지
로 올라왔다. 과학자들은 진핵생물(시아노박테리아와 세균을 제외한 생물)이 시아노박테리아를 흡수하면서 이들도 광합성을 하게 됐다고 설명하지만, 지금까지 구체적인 증거를 찾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 ...
육지
보다 귀한 바다 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현재 바다 생물 종 수는
육지
생물보다 크게 적다. 전체 생물의 15~25%만이 바다에 산다.
육지
생물의 4분의 1에서 6분의 1 수준이다. 바다 생물의 종 수가 적은 것은 바다 환경이 생물 번성에 유리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그레타 베가 미국 스토니브룩대 생태진화학과 교수팀은 ... ...
페름기 대멸종 시베리아 화산 때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복원하지 못했음을 증명했다.시베리아 트랩은 거대한 화산 분출로 매우 넓은 면적의
육지
와 바다가 현무암질 용암이 굳어져 덮인 지형이다. 연구진은 시베리아 트랩의 현무암 표본에서 채취한 2억 5000만 년 전 용암 속에 녹아 있는 황과 염소, 불소의 농도를 조사해 발표한 것이다.이번 연구 결과로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추락 지점과 방사성 물질로 인한 환경 오염 여부가 주목받았다. 추락 지점은 다행히
육지
가 아닌 바다였다. 방사성 물질 유출은 아직 단정하기에는 이르다. 러시아 연방우주청은 “방사성 물질 ‘코발트-57’의 양이 10㎍(마이크로그램, 100만 분의 1g)을 넘지 않아 방사능 오염 위험은 없다”고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