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d라이브러리
"
저널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혼자 백 마리의 양을 모는 양치기 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양치기 개들은 어떻게 혼자서 수십여 마리의 양들을 잘 몰수 있는 걸까. 이 비밀을 수학 모델로 푼 과학자들이 있다.영국 스완시대와 스웨덴 웁살라대 공동 연구팀은 최근 효과적인 양떼 몰이를 위한 수학 모델을 고안해 발표했다. 우선 연구팀은 양치기 개가 46마리의 암컷 양들을 몰도록 했다. 그 ... ...
[수학뉴스] 자연스러운 음악, 수학적 패턴 덕분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여럿이 함께 악기를 연주할 땐 악보가 연주자들 사이의 약속이다. 악보를 잘 따라서 연주해야 화음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람이 아닌 컴퓨터가 악보대로 연주한 음악은 왠지 부자연스럽게 들리기도 한다. 그 이유가 뭘까.최근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홀거 헤닝 교수팀은 사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뜨긴 한다. 하지만 카이퍼벨트 소천체는 그 정도가 아니다. 2013년 11월에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름이 약 600km인 소천체의 밀도가 물의 82%에 불과할 정도로 가볍다. 남한보다 큰 얼음덩어리가 마치 나무토막처럼 뜬다고 생각해보자(나무토막의 밀도는 물의 70%). 그런 ... ...
[포토뉴스] 수학으로 해양 오염 막는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선박의 침몰이나 원전 사고 등으로 바닷물에 방류된 유해 물질들은 해류를 타고 지구 전역으로 걷잡을 수 없이 퍼져나간다. 심지어 입자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도 많다. 해양 오염의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최근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 수학과 개리 프로일랜드 교수팀은 바다 속 ... ...
[과학뉴스] ‘글루텐 프리’만으로는 부족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글루텐은 밀가루에 함유된 단백질로, 밀가루 제품에 쫄깃한 탄력을 준다. 덕분에 맛있는 국수를 먹을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의심받고 있다. 소장 ... 섭취하면 소장에서 탄수화물 흡수를 방해해 혈당이 떨어졌다. 이 연구 결과는 ‘의학식품
저널
’ 9월호에 발표됐다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DNA 서열이 자이르 바이러스와 가장 유사하며 그 차이는 약 3%라고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
’ 4월 16일자에 발표했다(자이르 바이러스는 에볼라 바이러스 중 가장 위험한 종으로 치사율이 80%에 달한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바이러스 간에 DNA 서열 차이 3%는 굉장히 크다”고 설명했다.이 3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WHO) 타이숲 에볼라프로젝트 공동연구팀이 ‘사진측량공학 및 원격탐사(PE&RS)’
저널
에 발표한 논문쌀뤼! 쥬마뻴 에볼라(안녕! 내 이름은 에볼라야). 기니에서 프랑스 말을 좀 배웠는데, 이젠 한국어도 좀 배워야겠어. 우리 언제 만나게 될지 모르잖아? 그동안 아프리카의 아주 좁은 지역에서만 ... ...
왼손잡이 남성 겨울에 더 많이 태어나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유독 왼손잡이 남성이 더 많이 태어나며, 그 원인이 호르몬이라는 연구 결과를 뇌과학
저널
인 ‘코텍스’ 7월 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오스트리아와 독일의 성인 1만3000여 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대상이 된 사람들 가운데 남성의 8.8%는 왼손잡이였다. 그런데 유독 11월부터 1월 사이에 태어난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1940년대 남대문 근처에서 미군이 버린 고서 더미에서 를 발견했다. 그
저널
에 소개된 유명한 수학자 ‘막스 조른’이 제시한 문제를 풀어 편지를 보냈는데, 편지를 본 조른은 ‘이임학’이라는 이름으로 미국수학회보에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인 수학자를 세계 수학계에 최초로 알린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사이의 공저거리 계산이 가능한 것은 미국수학회에서 출판하는 ‘수학 평론’이라는
저널
때문이다. 이 간행물은 1940년에 창간된 이후에 전세계에서 나오는 모든 수학 논문과 저서를 시기에 맞게 간략하게나마 한 번씩 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은 인터넷으로 매스사이넷을 이용해서 검색할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