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자연에 한층 가까워진 움직임 소프트 로봇과학동아 l2021년 04호
- microfluidic logic)를 기반으로 제어된다. 로봇이 유체의 흐름을 자율적으로 조절하면 온보드 연료공급장치에서 촉매를 이용해 연료 분해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연료가 분해될 때 발생한 기체는 그와 연결된 유체의 흐름을 변동시키며, 로봇이 작동한다. 로봇의 몸체와 미세유체논리회로를 각각 몰딩과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차가운 도로 위에 식어가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사라진다. 현재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 개체 수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다. 개체 수 조절을 위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지금은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당장 문제는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국내 고라니 개체군이 큰 타격을 입는다면 곧 지구상에서 절멸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 ...
- [기획] 소리를 전시하다, 연출가 강신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바뀌는 것처럼, 소리도 굴절 방향과 파장이 도달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들린다. 이를 조절해 소리를 공간 속에서 실제처럼 구현하는 것이 앰비소닉스 기술이다. 이제 음악가들도 기술적인 부분을 익히는 것이 필수인 세상이 됐다. 새로운 기술로 얻은 영감이 다른 창작활동으로 이어질 수도 ... ...
- [과학동화] 동화 나라 인기템 ‘무지갯빛 유리구두’ 신데렐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색이 결정됩니다. 유전체층 속 공간의 분포를 바꾸면 무늬를 새기고 유리 양면의 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야누스 유리의 원리인 ‘광학 야누스 효과’는 용어가 처음 생겨난 지 5년도 안 된 ‘신상’입니다. 연구팀은 현재 광학 야누스 효과를 활용해 유전체층 속 공간에 유해화학물질이 들어갈 때, ... ...
- [이슈] 별별자전거로 떠나는 세계여행, 자전거랜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필요해요. 대부분의 자전거는 톱니 수가 다른 기어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요. 기어를 조절해 속도를 높이거나 오르막길을 좀 더 쉽게 오를 수 있거든요. 기어의 단을 바꿔 뒷바퀴의 회전수를 줄이거나 늘리는 거예요. 기어가 낮을수록 바퀴를 굴리는 데 힘이 덜 들어가기 때문에 언덕길을 오르기 ... ...
- [시사과학] 15분 만에 뚝딱 완성되는 음압병실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내보내요. 또, 실내 공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압력이나 온도, 습도를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어요.무엇보다 이번에 개발된 이동형 음압병동은 설치하는데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드는 것이 큰 장점이에요. 연구팀은 “병실 제작에 걸리는 시간은 2주 정도고, 이송하고 설치하는 데는 5일이 ... ...
- [2021 소미더뭐니] 우승자에 소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세포의 틀이 되어줄 동그란 지지체에 심었어요. 그리고 이 지지체에 정밀하게 양을 조절하는 특수 스포이드로 붉은 빛깔 배양액을 넣었어요. 이제 2~3주를 기다리면 세포가 증식하며 지지체 모양의 배양육이 탄생한답니다.“배양육이란 가축의 세포를 실험실에서 분화시켜 만드는 고기예요. 쥐 ... ...
- [한페이지 뉴스]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비추며 시험 비행을 진행한 결과, 비행체는 정상적으로 날았고 빛을 이용해 방향까지 조절할 수 있었다. 바르가틴 교수는 “이 비행체에 센서를 부착하면 중간권의 온도와 압력, 이산화산소 수치를 조사하는 등 기후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NE555라는 칩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에 전류를 흘렸다, 안 흘렸다 조절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MOSFET)를 연결했습니다.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마쳤으니 증폭할 차례입니다. 변압기가 필요합니다. 전압을 엄청나게 높여주는 장치죠. 키쿠 님이 길을 걷다가 눈이 마주쳤다는 2005년산 ... ...
-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그사이 컴퓨터 하드웨어의 성능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복잡한 신경망에서도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됐어요. 2006년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교수는 ‘깊은 사고 학습 네트워크를 위한 빠른 학습 알고리듬’이라는 논문에서 수백만 개의 은닉층으로 구성된 인공신경망은 사전 학습을 통해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