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좌우"(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게임세계에선 나도 금메달~ 맞혀라, 황금과녁!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움직이는지 계산해야 하지요. 3차원 좌표에서는 게임방법이 훨씬 다양해져요. 활을 상하좌우로 움직여 방향은 물론, 각도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지요.‘게임 오버’를 수없이 보면서 활을 쐈더니 휙휙 빗나가던 화살도 결국 과녁을 맞히기 시작했어요. 이제는 머릿속으로 수학식을 계산하지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퇴행이 심하다. 성인의 나이를 추정하기가 쉽지 않은 이유다. 그래서 법의인류학자는 좌우 치골이 맞닿는 치골 결합면(pubic symphysis)처럼 일상적인 활동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부위를 이용해 나이를 추정한다. 그렇다고 해도 어느 정도의 오차는 발생하기 마련인데, 이 오차 범위를 줄이기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교와 다른 점이 있다. 일부 구간을 다른 형태로 건설한 것이 아니라, 주탑의 좌우는 상판과 케이블이 연결된 사장교 형태로 만들고 주탑 사이는 케이블이 늘어져 있는 현수교의 형태를 취했다. ‘사장-현수교’라는 새로운 공법이다.현수교는 주탑 사이(경간)를 넓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방식인 ‘음상정위’기술을 이용한다. 어떤 위치에 있는 스피커에서 소리가 날 때, 좌우 양쪽에 들리는 소리는 미묘하게 다르다. 음원으로부터 거리와 강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음상정위 기술은 이런 특징을 이용해 사실적인 소리를 구현해 낸다.그러나 스피커를 무한히 많이 설치할 수는 없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재구성으로 배우는 원기둥, 원뿔, 구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위에서 보면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는 원을 볼 수 있습니다. 앞에서 보면 회전해서 좌우가 합동인 선대칭도형이 됩니다.원기둥, 원뿔, 구가 어디에 쓰이고 있는지 알려주면 흥미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1. 원기둥과 구의 특성을 활용한 세계 지도구 모양의 지구가 거대한 원통에 담겨 있다고 ...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노인의 표준 뇌 모형’을 개발했다고 7월 21일 밝혔다. 한국 노인의 표준 뇌 모형은 좌우 폭이 13.6cm로 서양 노인(13.4cm)보다 넓었다. 반면 앞뒤 길이는 16.0cm로 서양인(17.3cm)보다 짧았다. 상하 높이도 한국 노인은 11.5cm, 서양 노인은 12.4cm로 0.9cm의 차이를 보였다.김 교수는 “그동안 한국 노인의 표준 ...
- [과학뉴스] 철새의 졸음비행…괜찮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비행 중에 수면 상태와 유사한 뇌전도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큰군함조의 뇌는 좌우반구 중 한 쪽만 잠드는 경우도 있었다. 한 쪽 뇌만 수면상태일때는 눈을 한 쪽만 뜨고 천적과 같은 주위의 위험요소를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큰군함조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비행 중에 하루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컷앤다운은 아래 기둥을 자르는 게 핵심인데 위에서 누르는 하중은 잭이 견디겠지만 좌우로 흔들리는 측면하중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이기 때문이다. 물론 바람이나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내진 보강 공사를 한 뒤에 철거 작업을 하지만, 그 작업만으로는 부족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 ...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주파수가 높을수록 고음이 들리지요.매미에게도 ‘귀’가 있다!물론 매미에게도 등쪽 좌우에 엄연히 청각기관이 있습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얇은 막이 들어 있어서 소리가 들리면 진동이 울리면서 감지한답니다.사람은 귀가 양쪽에 하나씩 달려 있는 덕분에 소리가 어느 방향에서, 얼마나 멀리 ...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관찰했더니 나노 단위로 매우 얇은 방해석 판이 여러 개 겹겹이 있었다. 그런데 각각 좌우 40°씩 지그재그 모양으로 엇갈려 있었다. 연구팀은 이 각도로 엇갈려 있는 덕분에 파란줄무늬삿갓조개가 물속에서 더욱 파랗게 보인다고 설명했다. 빛이 물속에서와 물 밖에서 굴절되는 각도가 다르기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