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칼슘"(으)로 총 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은수저의 비밀과학동아 l2009년 02호
- 전자를 뺏겨 산화를 일으키면서 너덜너덜해진 것이다.금속의 이온화경향칼륨(K) > 칼슘(Ca) > 나트륨(Na) > 마그네슘(Mg) > 알루미늄(Al) > 아연(Zn) > 철(Fe) > 니켈(Ni) > 주석(Sn) > 납(Pb) > 구리(Cu) > 수은(Hg) > 은(Ag) > 백금(Pt) > 금(Au)은수저 보관은 알루미늄포일이 최고귀한 손님이 ...
- [해양학]바다의 건강을 책임지는 어류 배설물과학동아 l2009년 02호
- 경골어 내장 속에서 결정 형태로 있다가 가루 형태로 배설된다. 윌슨 박사는 “탄산칼슘은 해양 산성도를 조절해 해양 생태계와 산호초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다”며 “환경오염으로 기후가 변하는 미래에는 경골어를 비롯한 어류가 해양에 더 큰 화학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과학동아 l2009년 02호
- 물질은 용해 시 온도가 높아지는 물질이다. 이런 물질에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슘(Ca(OH)2)이 있다. 6. 어떤 기체 ⓐ가 분해돼 원자 2개로 된 기체 분자 ⓑ와 ⓒ가 만들어질 때 부피 관계다. 1)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 분자 3×1023개가 차지하는 부피와 같은 부피의 기체 ⓐ속에 포함된 ...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과학동아 l2009년 01호
- 관여하는 유전자를 발현시킨다. 그 결과 세포는 음식물의 칼슘을 흡수하거나 주변의 칼슘을 뼈 안으로 끌어들인다. 흥미롭게도 비타민D수용체는 장이나 뼈 뿐 아니라 뇌, 심장, 피부, 전립선, 유방 등 신체기관 대부분에 분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비타민D의 영향을 받는 유전자가 1000여개에 ... ...
- 반짝반짝 빛나라! 조명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23호
-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색깔의 빛을 얻을 수 있어. 규산아연을 바르면 녹색, 텅스텐칼슘을 바르면 파란색 빛이 나지.최근에는 PLS라는 조명이 등장했어. PLS는 전구 안에 특정 가스를 채운 뒤, *마이크로웨이브를 쏘아서 빛을 내는 원리야. 그러면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이 나오지. 이 때는 ...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21호
- 감추고 있다!거짓말이다. 우유는 다양한 영양소가 들어 있고, 현대인이 부족해지기 쉬운 칼슘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는 식품이다. 하지만 우유에 알레르기가 있거나 우유를 소화시키지 못하는 사람이 억지로 우유를 먹을 필요는 없다. 우유 대신에 다른 식품을 골고루 먹어도 몸에 필요한 영양분을 ... ...
- 소금 법정 대소동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20호
- 나트륨과 함께 있을 때는 물 1ℓ당 염소가 250㎎이 있어야 짠맛을 낼 수 있습니다. 반면 칼슘이나 마그네슘과 있을 때는 물 1ℓ당 염소가 1000㎎은 있어야 짠맛을 낼 수 있답니다. 그래서 공장에서 소금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짠맛의 강도도 조절할 수 있지요.또한 소금은 단맛을 높여 주기도 ... ...
- 소금이 제설제로 쓰이는 이유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많은 양 녹일 수 있는 이유다. 그러나 염화칼슘이 물에 녹는 반응은 발열반응이므로 염화칼슘은 좋은 제설제가 된다. 염화나트륨은 반대다. 염화나트륨은 물에 녹으며 주변 열을 흡수한다. 즉 용해열이 25℃, 1기압에서 -3.9kJ/mol이다. 러시아처럼 기온이 -20℃ 이하로 떨어지는 추운 곳에서는 ...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과학동아 l2008년 12호
- 함량이 적고, 철(Fe)과 마그네슘(Mg)의 함량이 많다. 따라서 마그마 잔액은 처음보다 Fe, Mg, 칼슘(Ca) 함량은 적어지고 SiO2, 나트륨(Na), 칼륨(K)의 함량은 많아져서 안산암질 마그마가 된다. 마그마가 냉각되는 내내 이런 과정이 계속적으로 일어나 유문암질 마그마가 되고, 마지막에는 열수 용액만 남게 ...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과학동아 l2008년 11호
- 걸러서 얻은 액체에서 발광체를 찾았다.시모무라 박사가 추출에 처음 성공한 물질은 칼슘이 있을 때 푸른색으로 발광하는 에쿠오린이라는 단백질이었다. 희한한 사실은 발광 해파리는 녹색을 내지만, 에쿠오린은 푸른색을 띤다는 점이었다.시모무라 박사는 또 다른 발광체를 찾기 시작했고 마침내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