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면도"(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 수업은 기하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점’에서 시작해 면을 만들고 다면체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사물의 면만 보는 게 아니라 점과 모서리, 면 전체를 보며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수업의 목표는 4개의 모서리를 한 점으로 모은 뒤, 정삼각형 모양의 면을 만들고 마 ...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손이 노래질 때까지 귤을 까먹다가 남은 귤 2~3개를 공중으로 던져 저글링을 해 본 기억이 있나요? 김장수 교수님은 어릴 적 장난 삼아 했던 귤 저글링이 수학과 매우 밀접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틈만나면 저글링을 해요. 여기서 더 나아가서 저글링과 관련된 수학 문제를 만들어서 풀겠다는 꿈도 꾸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하도시를 이해하려면, 먼저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당시 기독교인들이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수준의 지하공간을 가장 먼저 개척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터키 카파도키아 지역에서 고대인들이 이미 파놓은 동굴을 넓히면서 그들만의 거대한 ‘땅 속 천국’을 만들었다.데린쿠유 지하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을 공부하다 보면 가장 짧은 길이의 선을 구하는 문제를 종종 접하게 된다. 이는 최단 거리를 구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중간에 어떠한 장애물도 없을때 집에서 학교까지 갈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은 어떤 모양일지 구하는 문제가 그 예다. 답은 누구나 쉽게 생각할 수 있듯이 곧은 선이다.최단 거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4) 위상동형과 입체도형입체도형에서 위상동형은 어떤지 생각해 보자. 입체도형 역시 평면도형과 마찬가지로 붙어 있는 것을 자르거나 떨어져 있는 것을 이어붙이지 않고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여 서로 같은 모양이 되면 두 도형을 위상동형이라 한다. 아래 그림에서 커피잔과 도넛은 위상동형이다. ...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우주에는 천문학자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10배나 많은 은하가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팅엄대 물리·천문학부 크리스토퍼 콘셀라이스 교수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심우주 영상을 모아 3차원으로 변환했다. 사진에는 별들이 2차원 평면에 배열돼 있지만 사실은 시간의 흐 ... ...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면서 갑자기 ‘위상수학’이라는 단어가 여기저기서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수학동아를 꾸준히 본 독자라면 익숙할 겁니다. 노벨 위원회가 빵을 들고 나와서 한 설명도 처음 본 게 아니겠지요.어머, 이건 해야 해! 이런 소식을 수학동아가 그냥 지나칠 수 없지요.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세상은 굽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곳저곳에 수많은 곡선이 숨어 있다.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유려한 곡선미를 자랑하며 슝슝 달리고 있는 자동차다. 또 세계 곳곳을 여행하다 보면 곡면으로 만들어진 건물을 볼 수 있다.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신소재의 구조 속에도 곡선이 있다.잘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올해 초 과학계는 중력파의 발견으로 떠들썩했다. 많은 사람이 노벨 물리학상은 중력파 연구가 받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런데 노벨 물리학상은 중력파가 아니라, 1970~1980년대에 이뤄진 오래된 물질 연구에 돌아갔다.뜬금없는 결과는 아니다. 최근 물리학계에서 초전도체와 반도체는 물리학자들이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속도와 시간 개념이 없다면 애초에 역설적인 문제예요. 같은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를 생각해야지요. 10초 동안 아킬레스가 100m 이동할 때 거북은 10m 앞서나가고 있겠지요. 이 10m는 아킬레스가 1초 만에 따라잡을 수 있어요. 그동안 거북은 1m 다시 앞서겠네요. 그리고 아킬레스가 0.1초 만에 다시 1m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