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소"(으)로 총 2,4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비가 안 와 반도체를 못 만든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심각한 물 부족을 겪고 있습니다. 물을 저장하는 저수지에는 평소의 5분의 1인 20%밖에 물이 남지 않았어요. 특히 반도체 공장에 주로 물을 공급하는 바오산 제2저수지는 물이 7%만 남았어요. 이렇게 물 부족 사태가 찾아온 이유는 2020년의 ‘강우량’, 즉 내린 빗물의 양이 예전과 비교해 대폭 줄었기 ...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바로 전날에는 큐리오시티가 표면에서 측정한 메탄 농도가 7ppb를 넘었습니다. 둘 다 평소보다 10배 이상 높은 수치였습니다. doi: 10.1038/s41561-019-0331-9하지만 “메탄의 존재만으로 화성에 생명체가 있다고 단언하긴 어렵다”라는 신중론이 아직은 대세입니다. 메탄은 암석이 풍화되거나 얼음층이 녹을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천재 수학자들이 내놓은 연구 결과의 일부만을 다룰 수밖에 없어서 아쉬웠어요. 그래서 평소 멋있게 느꼈던 심리학을 공부했습니다. 고도로 추상적인 학문인 수학보다 하루하루의 삶에 더 밀접한 학문을 배우고 싶기도 했고요. 독특한 저만의 이력이 생기니까 심리학과 수학을 연결한 책도 쓰고,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합니다. 편향은 고려하는 조건과 상관없는 에프매스의 특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평소 에프매스가 외출하는 것을 좋아했다면 날씨, 친구, 대중교통과 관계없이 에프매스가 축제에 갈 확률이 높겠죠? 하지만 아직 에프메스에 대해 데이터를 학습하지 않은 AI는 에프매스의 취향과 특성을 모르기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밝혀 국제학술지 ‘대한의학회지’ 지난해 9월 7일자에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3월 2일, 평소와 같이 등교수업을 시작했다면 최소 890명에서 1090명의 소아·청소년 환자가 나왔을 수 있다는 겁니다. doi: 10.3346/jkms.2020.35.e321 쟁점2. 청소년 감염위험 낮으니 안전?“나이 어릴수록 코로나19 감염률 ...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프로젝트 매니저는 지난해 4월 미국의 온라인 과학매체 ‘언다크’와의 인터뷰에서 “평소 하루 평균 2만 5000건 수준이던 동물 분류 데이터 수가 코로나19 유행과 자가격리 직후 20만 건까지 급증했다”며 “이후에도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비해 평균 3~5배 이상 많은 참가자들이 활동하고 있다”고 ... ...
- [이달의 우주 날씨] 보름달아, 내 소원을 들어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행사를 하며 한 해의 복을 기원했어요. 그런데 ‘대보름’이라는 이름처럼 이날 실제로 평소보다 큰 보름달이 뜰까요? 답은 ‘정해져 있지 않다’입니다. 달의 크기는 시시각각 달라져요. 물론 달의 실제 크기가 변하는 것이 아니라 달과 지구의 거리에 따라 크기가 달라 보이는 것이죠. 달은 지구를 ... ...
- [이달의 책] ‘남성 전용’ 우주에 맞선 위대한 패배자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등 흥미진진한 어구로 시선을 사로잡는다.여기 등장하는 동물들은 과학계의 사절단이다. 평소 과학에 흥미를 느끼지 못했던 사람들도 동물들이 가진 신비로운 비밀을 보다 보면 어느새 생태학과 환경 보전, 과학사의 세계로 빠져들 것이다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날 학원에 다녀오는 길 집 앞에서 암끝검은표범나비 애벌레 일곱 마리를 발견했어요. 평소 다니는 길에서 자주 봤던 애벌레였는데, 추헌철 연구원님의 나비 강연을 듣고 나니 어떤 종의 애벌레인지 한번에 알아보겠더라고요! 곧바로 통에 담아 집으로 데려왔습니다. Q나비를 위해 매일 한 일이 ... ...
- 기후위기의 마지노선, 심해가 끓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상대적으로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 작은 온도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평소 심해 수온 변화는 0.001℃ 수준으로 0.04℃의 수온 변화도 결코 작지 않다. 에너지 순환과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뜻이다. 심해의 온도 상승이 계속된다면 지구 환경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우선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