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물
해조
짠물
기침
수해
바다물
d라이브러리
"
해수
"(으)로 총 697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나카라 강은 북태평양 서부와 일본 열도 남쪽을 따라 흐르는 이 해류의 길목에 있어
해수
와 담수가 섞여 흐른다. 강의 수온은 연평균 25.3℃로 겨울에도 20℃를 밑돌지 않고, 다양한 열대어류와 해양생물이 살고 있다. 또 기온은 가장 낮은 1월에도 18℃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 덕분에 한겨울에도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돼, 제주도는 태평양의 섬처럼 산호로 둘러싸인 섬이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높아진
해수
면 때문에 해안가 마을이 물에 잠기는 등해안가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큰 피해가 발생 할 것이다.넷째 날 1만 년 뒤 가축과 농작물이 변했다!넷째 날이 되자 이 새로운 세계에서의 생활도 익숙해졌는지 아침 일찍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호랑이의 개체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 이어 일제가 ‘해로운 동물을 몰아낸다’는
해수
구제정책을 대대적으로 전개해 1927년 경주 대덕산에서 마지막 호랑이가 잡힌 이래로 남한 지역에서 호랑이는 종적을 감추게 됐다. 김 교수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1987년 자강도에서 포획된 수컷 호랑이가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올랐는데 불과 100년 만에 5배 정도인 0.74℃가 올랐으니 말이야. 이 때문에 빙하가 녹고
해수
면이 상승하는 등 지구의 기후 조절 시스템에 커다란 변화가 감지되고 있어.과학자들은 온난화로 인해 바닷물의 흐름이 변하는 것에 특히 주목하고 있어. 해류에는 밀도가 높아 바다 깊은 곳으로 흐르는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위해 다양한 장비도 갖췄다. ‘염분 수온 수심 측정기(CTD)’는 바다의 각 지점별로
해수
의 온도와 전기전도도, 염분, 수심을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는 다목적 관측장비다. CTD로 플랑크톤이 얼마나 사는지 분석할 수도 있다. 심해저의 해양샘플을 채취하기 위한 TV 그랩(GRAB)이란 장치도 실렸다. 이 ... ...
바다에서 찾은 청정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조류발전은 바닷물이 빠르게 흐르는 곳에 터빈을 설치해 놓고, 태양과 달의 인력으로
해수
면의 높이가 바뀌면서 바닷물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한답니다.태양과 달의 힘을 이용한다…. 그렇다면 발전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나올 염려는 없겠네요.맞아요. 그래서 기대가 더 크답니다.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인천대교는 바다 위를 달리는 구간이 전체 18.4km에서 절반을 넘는 12.34km에 이른다.
해수
면에서 차량이 달리는 상판까지 평균 높이가 74m로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이란 표현이 어색하지 않다.전 세계가 인천대교에 주목하고 있다. 영국의 건설전문지 ‘컨스트럭션 뉴스’는 인천대교를 ‘경이로운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연구를 진행 중이다. 또한
해수
의 이온과 미생물이 막에 들러붙어 막을 오염시키기 전에,
해수
의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해 오염을 방지하는 ‘모니터링 센서기술’도 개발하고 있다.김 교수는 “바닷물을 먹는 물로 바꾸는 일은 미생물학, 화학 같은 순수과학을 거대한 기계에 접목시켜야 하는 쉽지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함유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호주나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은 대규모 염전에
해수
를 가둔 뒤 1~2년에 한 번씩 소금을 채취하기 때문에 염화나트륨 비중이 98~99%에 이른다. 반면 국산 천일염처럼 갯벌을 개조한 염전에서 생산한 천일염은 생산 과정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지만 미네랄 함량이 ... ...
녹아 내리는 남극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게 인공위성 사진을 통해 관측되었어요. 과학자들은 얼음다리가 무너진 게 곧바로
해수
면의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만, 많은 얼음들이 더욱 빠르게 이동해 녹게 될 것이라며 경고하고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