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학자"(으)로 총 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을 바꾼 발명가와 발명품에 대해기사 l20210519
- 그래도 인경의 원리를 발견한 사람은 있답니다. 바로 알히젠 이라는 학자! 그는 어느날 유리를 통해 물테가 더 크게 보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곡선모양의 유리로 시력 보조 장치를 만들었고 13세기 말에 이탈리아에 알렉산드로는 나무나 동물의 뼈로 안경테를 만들었지요. 그래서 그당시 귀족들은 안경을 썼다는 기록도 있어요. 그 ...
- 목성에 다이아몬드 비가?!기사 l20210512
- 핵으로 들어가서 녹아 내린다고 하네요. 다이아몬드 수확은 그른 것 같네요..! 근데 이 현상이 토성에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원래 학자들은 해왕성,천왕성에는 보석이 내릴 거라고 예측했지만 토성과 목성은 예상을 못했다고 합니다. 지구에도 이런 장소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김민중 기자 였습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풀씨 마지막 강연~! 새,송장벌레,땅거미 연구자를 온라인에서 만나요! (6/1 저녁 7시)공지사항 l20210506
- 있는지 다시 한 번 살펴 볼까요?^^ 지사탐 대원들은 16종의 생물탐사 이외에도 위의 9가지 연구 프로젝트에 시민과학자로서 참여할 수 있는데요, 의미 있는 자료들을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는 온라인 생방송 강연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답니다. 5월~6월에 준비된 강연 일정을 공개합니다~! 5월에는 ...
- 만약 지구에 5초동안 중력이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기사 l20210501
- 빛도 시간도 거의 모든 것을 끌어당깁니다. 이 어마어마해 보이는 중력은 우주 최초의 힘이라는 타이틀과는 다르게 저명한 물리학자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은 "중력은 약하다. 너무 괘씸할 정도로 지독하게 약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중력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4가지의 힘중 가장 약한 힘으로 꼽습니다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는 서로 당기는 힘이 있습니다 하지만 ...
- 우리 손가락은 왜 5개 일까요?기사 l20210425
- 손가락아 5개가 넘는 동물은 거의 없습니다. 왜 그런지 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잉그랜드의 이론 생물학자 크리스 하야스라는 학자가 왜 인간의 손가락이 5개인지 궁금증을 가졌습니다. 그가 과학문지에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종 들의 손가락의 갯수는 다섯개일 때가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 했습니다. 실험용 쥐의 경우엔 ...
- 캡사이신이 많이든 음식에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 매운음식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10418
- 아시나요? 매운고추 1위로 뽑히는 청양고추인데요. 매운맛 세기는 ' 스코빌 척도'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스코빌 척도는 1912년 미국화학자 윌버 스코빌이 고안한 방법 입니다. 고추와 식물의 매운맛을 느낄 수 없도록 하려면 그 농도를 얼마나 묽게 만들어야 하는지를 수치로 나타냈습니다. 따라서 스코빌 척도 숫자가 클수록 매운맛이 강합니다. ...
- [기억한데이 미션] 식목일 도대체 무슨날일까?!기사 l20210406
- 4,000여 만 그루 나무를 심으신 분이 계세요. 바로 왕가리 마타이라는 분이죠. 그분은 케냐에서 태어나셨고, 생태학자이자 정치학자입니다. 그린벨트 라는 운동으로 2011년까지 아프리카 전역에 4,000여만 그루의 나무를 심으셨어요. 또한 그린벨트 운동으로 가난한 여성들에게 일자리를 주었다고해요. 지구도 살리고, 일자리도 주고 정말 ...
- 봄철 별자리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10404
- 사냥개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코르카롤리 입니다. 코르카로리의 뜻은 '찰스의 심장'으로 천문학자 핼리가 영국의 왕인 찰스 1세를 존경하는 의미에서 붙인 이름입니다. 망원경으로 보면 색이 다른 2개의 별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코르카롤리 입니다. ...
- 오래전 인류의 두개골? 정체는? 필트다운 사건기사 l20210401
- 박주승 기자입니다. 필트다운 사건을 아세요? 아마추어 고고학자 찰스 도슨(1864~1916)이 그의 동료들과 함께 인류의 두개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찰스 도슨(1864~1916)출처: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회) 이 일이 있고 난 후, 이 두개골의 이름은 에오안트로푸스 도스니(Eoanthropus dawsoni) 가장 오래된 ...
- 제2회 사행시 짓기 대회 투표!포스팅 l20210329
- ㅈㄱㄴ 지금 시작합니다!! 1번 후보 과: 과학은 학: 학자들이, 실험이 실패를 할 때마다, 동: 동심 케어를 하며 아: '아이고! 허리야!' 소리가 날 정도로 연구를 해야 한다. 2번 후보 과:수원에서 어떤 학:이 있었는데 알고보니 그 학은 동:물원에서 탈출해서 멀리 떠났더라구요. 아:마도 이제는 달나라까지 갔을 겁니다. 입니다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