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뉴스
"
결론
"(으)로 총 1,99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로 칼로리' 음료에 든 '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분류 임박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고려되는 물질을 말한다. IARC는 1300건의 연구를 검토해 이러한
결론
을 도출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반박 주장들이 제기됐다. 국제감미료협회는 IARC는 식품안전기구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WHO, FAO(유엔식량농업기구) 합동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는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아직 동료심사 진행 중이므로 Gαq를 잘 활용하면 노화성 기억 감퇴를 극복할 수 있다고
결론
내리기에는 이르지만 최소한 모델생물을 잘 활용하여 ‘뇌의 회춘’이라는 커다란 비밀의 실마리를 풀 수 있는 환원론적 연구 방식의 유용함을 엿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모델생물을 이용한 기억 ... ...
뇌는 어디서 의식을 만들까…25년 해묵은 난제 첫
결론
은 '뇌의 뒤쪽'
동아사이언스
l
2023.06.26
가설이 그간 대립해왔다. 25년 전 과학자들 간 내기까지 이뤄졌던 난제의 첫 번째
결론
이 내려졌다. 첨단 뇌 분석 기술을 사용해 실험한 결과 외부 경험에 대한 반응과 더 밀접한 뇌의 부위는 ‘뒤쪽’이 유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23 의식과학연구협회(ASSC ... ...
미국국가정보국 "코로나19 우한실험실 유출 증거 찾지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3.06.25
전문가가 수집된 정보에 대해 다양한 평가를 했는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결론
을 내린 증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공화당 소속 마이크 브라운 상원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ODNI가 발표한 보고서는 완전히 불충분하다”고 말했다.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의 여왕에겐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말뚝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6.24
봤어요. 그 결과 말뚝버섯 한 개체당 133kg의 사람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는
결론
을 내렸죠. 그러나 실제로 말뚝버섯의 대를 만져보면 굉장히 부드럽고 연약한 느낌이 듭니다. 그도 그럴 것이 대의 구조가 균사로 꽉 찬 게 아니라 스폰지처럼 듬성듬성 구멍이 나 있거든요. 이 연약한 ... ...
[주말N수학] 수학자에서 사회운동가로...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
수학동아
l
2023.06.24
집합론으로 산술의 기초를 정립하는 일생일대의 연구를 마무리하고 있었어요. 이 연구의
결론
은 수학과 논리학이 본질적으로 동일함을 시사했기 때문에 수학적으로뿐 아니라 철학적으로도 엄청난 의의를 지녔습니다. 독일 비스마어 마리엔 교회에 있는 고틀로프 프레게의 흉상. 프레게는 ... ...
"생명체 있을 것 같은 행성, 대기·물 충분치 않아"...제임스웹 관측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바탕으로 이 두 행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대기 와 물이 부족하다는
결론
을 내렸다. 트라피스트-1 행성계 내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환경의 다른 행성이 있을 가능성은 남아 있다. 8일 과학논문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발표된 미국 워싱턴대 논문에 따르면 '트라피스트-1e'와 ... ...
우주 태양광 발전 현실화?...지구 전송 실험 성공에 실제 투자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2050년까지 태양광 발전으로 연간 최대 10기가와트(G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
을 도출한 영국 정부는 최근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우주 태양광 발전을 위해 자국 대학과 기술회사에 430만파운드(한화 69억2730만원)의 자금을 푼 것이다. 지원 대상에는 우주의 높은 방사선 수치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로 인간활동 줄자 야생동물 활동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1
기간 동안 야생동물의 이동거리가 증가한 것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모두 있다고
결론
내렸다. 좁은 서식지로 내몰렸던 야생동물들의 활동반경이 넓어진 것은 긍정적이지만 동시에 인수공통감염병이 확산될 위험성도 커졌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호 종으로 규정된 퓨마와 같은 동물들은 ... ...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었다?
과학동아
l
2023.06.10
보고하는 일이 잦았다. 이는 일본인 연구자들이 너무 적은 수의 표본을 바탕으로
결론
을 냈기 때문이다. 석주명은 전국을 무대로 십여 년간 매주 채집 여행을 다니면서 무려 75만 점에 이르는 나비 표본을 모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인 연구자들의 오류를 지적할 수 있었다. 그는 이 표본들의 날개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