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치
허비
지출
감손
줄어듦
뉴스
"
낭비
"(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14
끼우면 완성! 어때? 우리가 만든 램프플라워 정말 멋지지? 이처럼 간단한 아이디어가
낭비
되는 에너지를 잡을 수 있다니! 우리들도 에너지를 절약할 아이디어를 생각해 보자. 생각이 에너지라고 하잖아! 멋진 아이디어가 생각나면 에너지 슈퍼마켙에 알려 주는 것도 좋겠지? ... ...
실험장비 중복투자 막는다… 과학기술계 연구시설 일괄 관리
2015.08.31
실시할 예정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그간 연구장비 공동 활용이 부족해 예산
낭비
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장비 공동활용대책 추진협의회’를 꾸려 운영해 왔다. 그 결과 공동활용 허용률을 지난해 말 47.3%에서 8월 현재 79.4%로 끌어올린 바 있다. 이상천 ... ...
일촉즉발 상황, 北 포탄 날아오면 어떻게 대응할까
2015.08.23
한 발에 수십 만~수백 만 원 수준인 저가 포탄을 요격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너무
낭비
라는 비판도 있다. 한 국내 방위산업체 관계자는 “가격이 비싸다는 지적이 있지만 인명을 지킨다는 점에서 C-RAM의 가치가 크다”며 “최근엔 차세대 대포방어 장비로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는 레이저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단계는 아닌 것 같다”는 한 진화생물학자의 이메일을 받은 필자는 내키지 않았지만(시간
낭비
로 느껴져서) 관련 기사를 쓰기도 했고, 이게 계기가 돼 이듬해 출간된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과학이슈 11(시즌2)’라는 책의 1장 ‘진화론 논쟁’을 집필하기도 했다. 과학까지 집어삼키려고 하는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지금까지의 논의는 인공지능이나 뇌과학, 양자컴퓨터, 로봇공학이 수많은 세금을
낭비
하면서 성과를 못 내고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악한 의도를 가진 기계가 나타나 인간을 멸종시킬 것이라는, 지금으로서는 뜬구름 잡기에 불과한 걱정을 앞세워 인공지능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을 ... ...
병원간 환자정보 공유 확대… ‘의료쇼핑’ 감염확산 차단을
동아일보
l
2015.06.26
때 솔직하게 진술하지 않는 환자와 가족들이 많기 때문에 추가 조사 과정에서
낭비
되는 인력과 시간이 상당하다”고 말했다.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진술에 의존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통화 기록과 신용카드 사용 명세 등을 쉽게 추적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바꿀 ... ...
환경부, 물 과소비 탈출… 물의 날은 하루가 아닌 1년 365일
동아일보
l
2015.03.24
하거나 음식재료들을 씻을 때 물을 틀어놓지 않고 설거지통을 이용하는 것도 물
낭비
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수돗물의 경우 제조 전부터 전 과정을 보더라도 L당 0.26g의 이산화탄소를 발생하지만 먹는 샘물의 경우 700배가 높은 180.58g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고 한다. ... ...
미래부, 스마트(SMART) 3·3·3 조직개편 단행
2015.03.10
연구기관 사이의 영상회의를 늘려 업무효율을 높이고 행사를 20% 이상 줄여 시간
낭비
를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하는 1차관실은 연구개발 혁신과 연구성과의 사업화 강화가 핵심이다. 연구개발정책관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으로 개편해 기초·원천연구 지원을 강화하고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
2015.03.02
이용하는데, 여기에 마이크와 전기회로, 스피커 등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에너지
낭비
가 크고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소리의 파장보다 작은 초소형 인공구조물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계하고 외부 음파 신호가 이 구조물을 통해 센서에 전달되도록 만들었다. 소리가 작은 ... ...
[신나는 공부]공부의욕 불태운 비결은?… 목표와 흥미!
동아일보
l
2014.12.09
11시 학교에서’ ‘대외활동은 주말에’라는 원칙을 세웠어요. 목표가 있으니 시간
낭비
할 틈 없이 효율적으로 공부한 것 같아요.”(이 군) “공부는 답을 찾아가는 흥미로운 과정” 중학교 때부터 내신 성적이 좋았던 최 양에게도 고비가 있었다. 1등급이었던 전 과목 내신 평균 등급이 고1 2학기 때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