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이크로폰
마익
월튼
키보드
알유진
요세프컴퍼니
요셉
뉴스
"
마이크
"(으)로 총 557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위성만 보면 안되는데…AI·로봇이 우주산업 이끌 것" 한불 우주포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못한 돌발상황에도 사람처럼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렇게
마이크
로 단위만큼 정밀도를 가진 로봇 기술을 활용해, 극고온이나 극저온 등 극한 우주 환경에서도 인간을 대신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우주산업 발전만큼 사이버 보안 중요 장 마크 나스르 ... ...
2024년 다시 달로…NASA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명은 ‘아르테미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NASA는 원래 2028년 달에 유인 우주선을 착륙시킬 계획이었다. 그런데 지난 3월 26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미국 우주인을 향후 2024년말까지 다시 달에 보내는 것이 정부와 미국의 공식 목표”라고 선언하며 계획에 변경이 생기기 시작했다. 국가우주위 위원장을 맡고 있기도한 펜스 부통령은 ... ...
바다속 암모나이트 호박에 갇힌 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13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마이크
로 컴퓨터단층촬영(CT)를 이용해 3차원적으로 해당 호박을 촬영했다. 호박 안에는 암모나이트 이외에도 바다달팽이, 등각류와 같은 해안생물이 존재했다. 또 이 화석이 백악기 중기 알비세 말기에서 ... ...
美 달 탐사 예산 늘리고 민간기업 협력 강화, 유인 달 탐사 속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2020년까지로 미뤄졌다. 하지만 NASA는 여전히 구체적인 개발 일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3월 달 탐사를 앞당기겠다고 선언하면서 “SLS의 개발 지연이 달 탐사 계획 일정을 늦추고 있다”며 공개적으로 질책하기도 했다. 인간 달 착륙 시스템 개발에도 내년 예산 중 10억 ... ...
화기 소음 방지용 귀마개로 총알 발사 위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백금선 온도가 떨어지며 저항이 미묘하게 변하는데 이를 포착하는 방식이다. 이
마이크
를 1km 이상 떨어진 곳에 두 개 놓고 측정해 시간 차이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영국군은 포 공격이 시작되면 몇 분 내로 발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기술은 이후 미군에도 도입됐다 ... ...
제프 베이조스 "이것이 5년뒤 달에 갈 유인 착륙선"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연합뉴스 이번 발표는 미국이 5년 내로 우주인을 달에 보내겠다는 계획에 맞춰 발표됐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2024년까지 미국 우주인을 달에 돌려보낼 것”이라며 당초 2028년으로 예정돼 있던 유인 달 탐사 계획을 앞당겨 달라고 미국항공우주국(NASA) 측에 요청했다. 베이조스는 “우리는 ... ...
기초연구 10년간 뜬 단어는 ‘AI·빅데이터’ 진 단어 ‘유전자·나노’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외가닥 유전물질인 RNA 가운데 짧은 RNA를 이용해 DNA 사용법을 조절하는 ‘
마이크
로RNA’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 같은 추세를 반영한 키워드가 늘었다. ‘유전자’라는 넓은 개념의 말이 줄어든 것도 ‘바이오마커’라는, 구체적인 유전자 진단 기술이 발전하면서 트렌드가 바뀌었기 때문으로 ... ...
“
마이크
로RNA 치료제 실현하려면 기초연구 기술개발 함께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0
잘려(➋) '머리핀'을 닮은 구조만 남은 채 핵에서 빠져나온다(➌). 다이서에 잘린
마이크
로RNA는 단백질과 복합체를 이뤄(➍) 특정 mRNA에 붙을 수 있다. 그러면 mRNA가 분해된다(오른쪽). 동아사이언스 제공 miRNA는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미국 다트머스대 의대 교수가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의 배아 ... ...
도심으로 들어온 첫 과학축제 오늘 저녁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개막식은 YTN 사이언스에서 생중계된다. 과학문화 행사도 다양하게 개최된다. 종로
마이크
임팩트스퀘어에서는 이상희 미국 UC리버사이드 교수, 정재승 KAIST 교수, 김상욱 경희대 교수 등 유명 과학자와 임현의 한국기계연구원 실장 등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의 과학강연이 펼쳐진다. 길거리 ... ...
더 밝고 전기 적게 쓰는 QLED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현구 그룹장은 “향후 본 기술을 연구진이 개발 중인
마이크
로 디스플레이도 적용해 볼 계획”이라며 “미국 국가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NTSC) 기준 약 159%의 색 재현율을 보여 자연색에 보다 가까운 색상구현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