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70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성 정액서도 발견되는 미세플라스틱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생쥐는 정자 생성에 관여하는 세포 수가 감소하고
모양
이 비정상인 정자의 비율이 높아지며 정자의 대사 효소 활동이 낮아진다는 기존 연구가 있었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정자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이 생식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길이 4cm에서 1.2m까지 늘어나는 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6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원생생물의 목이 세포의
모양
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미세소관’이라는 긴 중합체에 덮여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미세소관은 스프링이나 코일 형태가 아닌 오리가미 형태로 접혀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접혀 있던 주름이 펼쳐지면서 ... ...
설탕 대신 카카오 껍질…건강하고 친환경적인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하트
모양
의 초콜릿들.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자들이 초콜릿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던 카카오 열매의 껍질이나 과육을 활용해 초콜릿을 만드는 방법을 고안했다. 기존 초콜릿보다 폐기물을 줄이면서 영양가는 높였다.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배출량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아무리 정확히 자르려 해도 1mm를 자르는 건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종이도 아니고 3차원
모양
을 하고 있는 사람의 몸에서 1mm를 잘라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로봇에는 아주 많은 종류가 있으며 의료용 로봇은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사람이 할 수 없는 미세한 수술을 하기 위해 주로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했다. 2015년 우주탐사선인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명왕성 사진에 사랑의 표식인 하트
모양
지형이 선명하게 포착됐기 때문이다. 최근 이 하트 지형이 형성된 원인이 비교적 정확히 밝혀졌다. 해리 밸런타인 스위스 베른대 물리학연구소 우주 및 행성 과학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3차원 ... ...
손 하나에 엄지 둘 로봇 상용화 합격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MRC 인지 및 뇌 부서의 수석디자이너가 2021년 개발해 공개했다. 손가락을 닮은 길쭉한
모양
의 기계인 세번째 엄지손가락은 시계처럼 끈에 달려 있다. 끈을 손에 착용하면 새끼손가락 옆에 의수처럼 달리는 형태다. 엄지발가락이나 발바닥 아래쪽에 있는 무선 압력 센서로 로봇의 ... ...
실험실 바닥에 갈라진 틈이…양자컴 '큐비트' 예술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수 있다. 연구팀은 STM에 전자스핀공명이라는 방법을 접목해 전자스핀을 제어하고 원하는
모양
으로 원자를 배열해 큐비트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연구단 장비가 놓인 공간과 그 외 공간 사이에 틈(원 안)이 있다. 이대 연구협력관은 양자 연구를 위해 설계된 건물로 장비를 놓는 ... ...
자율주행차 돌발사고 줄일까…과학자들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정보에서 움직임을 빠르게 인식해 처리하는 부분과 높은 해상도로 처리하는 경로를 격자
모양
으로 배치했다. 네이처 제공 다비드 스카라무자 스위스 취리히대 로봇공학 및 지각 그룹 교수팀은 두 종류의 카메라를 인공지능(AI)으로 통합해 차량 주변 장애물을 더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 ...
푹푹 찌는 여름, 수분 섭취 적정해야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양 옆구리 뒤, 등쪽 갈비뼈 밑에 2개가 나란히 위치해 있다. 주먹만한 크기의 강낭콩
모양
으로 팥색을 띠고 있어 콩팥이라 불리기도 한다. 혈액 속 노폐물을 배설하고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김 교수는 “신장 질환자는 수분과 전해질 배설 능력뿐만 아니라 칼륨 배설 능력도 ... ...
하늘 위의 포식자 독수리 눈 닮은 카메라…"자외선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같은 조류의 눈은 높은 나무 위에서 서식하는 생존환경에 맞춰 망막에 깊고 좁은
모양
의 함몰부위인 '중심와'가 존재하도록 진화했다. 깊고 좁은 중심와는 멀리 있는 물체를 확대해 보기 유리하게 만든다. 새 눈의 중심와에는 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높은 밀도로 분포돼 있어 물체를 더욱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