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하고 오류 없는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수요기업인 LG U+의 5G 이동통신망에 실증 적용해 기술
상용
화 가능성도 검증한다. ETRI는 정형기법 기반 검증 기술과 HASP 솔루션이 글로벌 IoT 보안 기술 시장에서 국내 IoT 보안 기술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임재덕 ETRI 사이버보안연구본부 ... ...
고성능 잉크젯 프린트 헤드로 바이오프린팅 생산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이식 치료 및 독성 평가에 적용이 가능한 장기를 만들 수 있는 3차원 바이오프린터를
상용
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센서와 액추에이터B:화학' 10월호에 게재됐다. - doi.org/10.1016/j.snb.2024.13619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韓-글로벌 합성생물학 협력주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자율주행 버스를 주제로 한다. 오는 9일에는 2025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상용
화를 앞두고 국토교통부와 도심항공교통 현주소 및 최신 기술을 탐구한다. 11월 30일에는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 버스에 적용된 기술과 현장 실증 과정에 숨겨진 스토리들이 전달될 예정이다. ■ ... ...
전자레인지 원리로 나트륨 이온 전지 음극재 제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유도 가열 기술은 하드 카본을 빠르고 쉽게 제조할 수 있어 나트륨 이온 전지의
상용
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대면적의 하드 카본 필름을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또 마이크로파 유도 가열이 도온 공정이 필요한 ... ...
'앗 뜨거워' 전자기기 발열 문제 해결할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공동 연구를 통해 전자기기 발열 문제를 해결할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는 ‘스핀파’의
상용
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스핀파는 자성을 가진 절연체에서 전자의 스핀 특성을 이용해 전자의 흐름 없이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파동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물질 ... ...
[과기원NOW] 로봇 제어 최적화 알고리즘에 인간이 필요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공 교수는 "앞으로 웨어러블 로봇의 온라인 자동최적화 기능을
상용
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 KAIST는 딥테크 창업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는 '글로벌 스튜디오' 1기 입주기업 12곳을 선발했다고 4일 밝혔다. 글로벌 스튜디오는 올해 7월 KAIST가 글로벌 ... ...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간단 처리만으로 수명 3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하고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등 안전성과 내구성 문제가 생겨 리튬금속 전지
상용
화의 걸림돌이 된다. 한국과 미국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전해질 첨가제와 전기화학적 표면처리법를 이용한 리튬음극 제작법 개발 모식도(위)와 성능 테스트 비교 결과(아래). GIST 제공 연구팀은 전지 전해질에 ... ...
자동차 에어덕트 무게 60% 감량, 국산화 성공·
상용
화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기술을 개선했다고 2일 밝혔다. 개발된 에어덕트는 성능평가에서 완성차 규격을 만족해
상용
화를 앞둔 상태로 알려졌다. 콕핏 모듈은 자동차에서 운전석을 구성하는 계기판, 공조장치 등 핵심 부품들이 통합된 기본 단위다. 에어덕트는 자동차 내외부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부품이다. 기존 ... ...
거울 대칭 분자로 '탈취 불가' 광통신 암호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개발했다"며 "국방력 증진에 기여할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등 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상용
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최준일 교수는 "나노입자 기반의 가시광 통신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통신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 ... ...
귀금속 20분의 1 쓰고 성능 4배…수전해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29
에너지 머티리얼즈’에 최근 뒷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그린수소
상용
화를 목표로 수전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균일한 대면적 전극 제작 공정에 관한 연구를 향후 수행할 예정이다. doi.org/10.1002/aenm.20240099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