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뉴스
"
세균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왓슨은 미국 시카고 출생으로 16세에 시카고대에 입학했고 22세에 인디애나대에서
세균
유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을 만큼 수재였다. 그의 지도교수는 살바도르 루리아로 델브뤼크와 함께 박테리오파지를 연구해 1969년 노벨상까지 받았다. 야심 많은 젊은 과학도였던 왓슨은 DNA의 구조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처리 산업에 쓰이는 '막'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하폐수 재활용 등 수처리 산업에 쓰이고 있다. 염분과, 유기∙무기 오염물질, 바이러스,
세균
, 중금속 등을 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멤브레인의 어떤 부분이 멤브레인의 거르는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 밝혀지지 않았다. 막의 두께가 너무 얇아 관찰이 힘들었다. 엔리케 고메즈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1년, 10편의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2.26
그중 94명이 사망했다. 인도네시아 가자 마다대 공중보건 연구원인 그는 모기에 윌바키아
세균
을 집어넣고 방사해 뎅기열 환자 발생률을 77% 감소시켰다. 그는 “이 기술을 믿는다”며 “마침내 어둠 속에서 한 줄기 빛을 찾았다”고 말했다. 안타깝게도 그의 남편은 올해 3월 코로나19로 사망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의 정체가 드러나다
2020.12.24
되었다. 또한
세균
같은 미생물에도 유전자가 있음이 드러났다. 194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세균
따위에는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중론이었다. 허시는 동료인 체이스와 함께 박테리오파지의 구성물에 방사성 원소를 집어넣는 아주 영리한 실험을 진행했다. 박테리오파지의 구성물이라고 해 ... ...
국내 연구팀 "코로나19 감염됐다 회복하면 면역세포 기능 되돌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국내 연구팀이 몸안에 들어오는
세균
이나 바이러스와 싸우는 면역세포인 ‘T세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서 회복된 후 정상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T세포는 바이러스를 직접 공격하거나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는 ... ...
[전문용어의 벽, 어떻게 허무나](하) '프랑켄푸드'의 파급 효과…과학자와 대중의 거리 좁히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2.12
들었다. 미국 코넬대 곤충학자인 존 로지 박사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라는 그람양성
세균
을 이용해 해충에 잘 견디도록 형질을 전환한 옥수수가 제왕나비에는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당시 이 연구는 USA투데이 1면에 ‘엔지니어링 옥수수가 나비를 죽인다’라는 제목으로 실렸고, ... ...
수도권 14일부터 증상없어도 진단검사...타액·신속항원검사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속항원검사는 항원과 항체를 이용한 검사법이다.
세균
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가 몸속에 들어오면 면역세포들은 이를 인지하고 공격하는데 이 과정에서 항체가 생성된다. 항체는 병원체가 가진 특이 단백질(항원)에 달라붙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폐렴에 걸려 사망했다고 한다. 상황이 이렇게 되다보니 정부에서는 폐렴의 원인인
세균
을 연구해 백신을 개발하도록 했고 그리피스도 영국 보건부의 의료관으로서 폐렴구균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리피스는 폐렴구균에 두 가지 종류가 있음을 알아냈다. 하나는 매끄러운(S형) 균주로 세포표면이 ... ...
땀으로 땀 배출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12.07
버지니아공대 제공 땀 냄새는 피부에 서식하는 박테리아(
세균
)가 땀 속 단백질을 분해할 때 난다. 이 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금속염 성분의 땀 억제제를 피부에 발라 땀관을 막는 것이다. 그러나 금속염 물질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인체에 무해한 땀 억제 기술 개발의 ... ...
[코로나19 연구속보] 외부 바이러스로 코로나19 진단 속도·정확도 높인다
2020.12.03
개발했다. 하나는 식물 바이러스에 포함된 나노입자로부터 만들었고 다른 하나는
세균
에 감염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는 바이러스를 일컫는 박테리오파지 나노입자로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양성 대조군은 환자 샘플과 함께 분석돼 진단 결과 양성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식물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