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린트
인화
복사
모사
모방
프린팅
인쇄매체
뉴스
"
인쇄
"(으)로 총 361건 검색되었습니다.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확인했다. 정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이론적으로 팔만대장경을 A4용지 한 장에
인쇄
할 수 있다”며 “유연 디스플레이나 극미량의 물질 탐지 센서, 촉매 등의 제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겹겹이 쌓아 유기태양전지 효율 높인다
2014.10.27
연구원 - 부산대 화학과 제공 유기태양전지는 쉽게 구부릴 수 있고 신문을 찍어내듯 대량
인쇄
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지만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발전효율이 낮아 상용화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황도훈 부산대 화학과 교수팀은 유기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고 ... ...
수학과 역사,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2014.10.13
이 교수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경상도 감사가 새로
인쇄
한 송나라의 양휘산법 1백 권을 진상했다고 나와요. 수학책이 일종의 뇌물인 셈이죠. 세종의 수학 사랑이 아주 뛰어났다고 봐도 되지 않을까요?” 이날 학생들은 산대로 수를 나타내는 방법을 배우면서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지식 하나하나를 놓고 보면 특정한 지식이 창출되거나 반박되었음이 즉시 알려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각 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은 우리가 입수하 ... 문구도 있다(하필 에세이집에도 실린 글인데 뭘 보고 그렇게 썼는지 모르겠다). 다음에
인쇄
를 하게 되면 잊지 말고 업데이트를 해야겠다. ... ...
전자섬유, 세탁기 넣고 돌려도 OK
2014.09.05
있었다. 연구진은 전자센서를 0.005mm 두께로 매우 얇게 만든 뒤 잘 늘어나는 천에
인쇄
하는 방식으로 전자섬유 센서를 개발했다. 천에는 접착이 가능한 재료로 코팅을 해둬 어디든 쉽게 붙였다 뗄 수 있었다. 이 전자섬유는 피부에서 오래 붙이고 있어도 땀을 잘 배출할 수 있고 세탁이 가능하며 ... ...
옷처럼 입는 웨어러블 전자소자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5.28
나타낼 걸로 보고 있다. 기계연 연구팀은 서류를 프린터로 찍어내는 것과 비슷한 ‘
인쇄
공정기술’을 이용해 이 전자회로를 개발했다. 빛을 받으면 굳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기판 내부에 가느다란 은 나노와이어를 함몰시켜 웨어러블 전자소자용 투명전극으로 만든 것. 이렇게 만든 ... ...
‘도깨비 방망이’ 3D 프린팅 예술의 미래는?
동아일보
l
2014.05.27
번역했다. 박기진 씨는 3D프린터로 종이컵을 만드는 데 필요한 기계어 코드를 A4용지에
인쇄
한 종이더미(17만5000장)로 기술이 던져놓은 과제를 돌아보게 한다. 훼손된 유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복원하고 명화의 붓질도 재현 가능한 3D스캔과 복제의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유사한 작품이 쏟아질 경우 ... ...
집에서 프린터로 질병 진단 칩
인쇄
~ 끝!
과학동아
l
2014.04.22
연구진은 가정용 잉크젯 프린터에 자체 개발한 ‘전도성 잉크’를 채워 재생용지에 칩을
인쇄
하는 데 성공했다. 심지어 외국의 유명 잡지(TIME) 종이에 칩을 만들 수도 있었다. 이 칩은 쓰임새에 따라 회로를 바꾸기만 하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검출이 가능하고 1회용 분석 기기로도 활용할 수 ... ...
시각장애 학생이 고구려 국경 볼 수 있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4.16
물론 비장애 학생들의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사는 “복사기로
인쇄
물을 출력하듯 필요한 촉각자료를 즉각 만들 수 있어 수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학교 스스로 제작비를 감당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에 꾸준한 관심과 지원이 뒷받침돼야 시각장애 ... ...
한우 혈통,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안다
과학동아
l
2014.04.14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보증씨수소 정액이 담긴 스트로우 표면에
인쇄
된 고유 바코드를 휴대용 리더기로 찍어 앱(app)으로 전송하면 국립축산과학원 데이터베이스(DB)에 곧바로 저장 가능하고, 현장에서 휴대용 프린터로 가축인공수정증명서를 출력·발급할 수도 있다. 또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