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범
본보기
견본
귀감
극치
이상
모형
뉴스
"
전형
"(으)로 총 68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곤충은 하등한 생물일까?
2019.01.23
좌), 긴꼬리산누에나방 번데기 속 애벌레가 자신의 집을 지어 준비하는 겨울용 번데기는
전형
적인 발육 정지 상태로, 애벌레나 어른벌레에 비해 매우 효율적인 휴면 방식이다. 겨울이 깊어질수록 번데기의 휴면은 깊어지고 결국은 대사율 제로에 가까워진다. 알 속 애벌레, 고치 속 애벌레처럼 ... ...
[이강운의 곤충記] 감추어진 애벌레, 뚜껑을 열다
2019.01.09
순수한 의미의 알 형태 월동이다. 밤나무산누에나방이나 유리산누에나방 월동 알은
전형
적인 배자휴면이며 보온과 물리적 방어를 하는 집을 만든 사마귀 알집이나 매미나방 알집도 알로 겨울을 나는 시스템이다. 유리산누에나방 월동 알 유리산누에나방 알(배자휴면) 알의 형태이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발견이 물리학계에 미친 파괴력을 취재한 내용으로 연구의 책임자들만 언급되는
전형
적인 스타일이다. 기사에서 차오위안은 보이지 않고 지도교수인 파블로 자릴로-헤레로(Pablo Jarillo-Herrero)가 등장한다. 차오위안의 지도교수인 MIT 물리학과 파블로 자릴로-헤레로 교수(맨 왼쪽)와 동료 연구자들이 ... ...
[프리미엄리포트]병마와 싸우고 영재교육 박차고 나온 수능 만점자, 이렇게 공부했다
과학동아
l
2019.01.06
때문이다. 창의연구(R&E) 등 비교과 영역 활동은 자기소개서 작성과 면접이 있는 수시
전형
을 준비하는 데 필수다. 배수진을 치고 수능을 봤다. 문제 푸는 양으로 승부하라 수능에 ‘올인’했던 이 양은 만점 비결로 ‘문제 풀이’를 꼽았다. 특히 그는 문제의 양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한다. 위의 도형은 하루의 섭식 패턴 다섯 가지다. A는 대사질환이 만연한 현대의
전형
적인 패턴으로 저녁이 늦고 야식까지 먹는다. B와 C는 시간제한섭식으로 는 12시간 이내에 세끼만 먹고 C는 아침을 거르고 8시간 이내에 두끼만 먹는다. D는 세끼를 먹되 하루 권장량의 25% 수준이다. F는 하루 ... ...
[인사]KAIST
동아사이언스
l
2018.12.28
◇ KAIST ▽팀장급 △예산팀장 김돌비 ▽팀장급 △기획팀장 조성운 △경영전략〃 정성훈 △입학
전형
〃 김정현 △과학영재교육원 운영〃 손승목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존재했다. 이렇게 물을 머금은 돌기를 마른 천에 갖다 대면 물이 쪽 빠져나간다.
전형
적인 모세관현상이다. 연구자들은 고양잇과(科) 다른 동물들의 실유두 구조도 조사해봤다. 그 결과 몸무게가 고양이의 수십 배인 호랑이나 사자도 똑같은 구조인 건 물론이고 크기도 별 차이가 없었다. 이런 ... ...
빛 투과하는 ‘투명 콘크리트’ 보셨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제공 ‘무겁고 단단하며 아름답지 않은 회색 건축재료.’ 콘크리트 하면 떠오르는
전형
적인 이미지다. 철근과 함께 현대 도시가 탄생하는 데 가장 큰 공헌을 한 건축재료지만 뛰어난 기능에 비해 미적인 평가는 박하다. 하지만 콘크리트만큼 건축의 기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또 다양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만들 수 있다. 아래 흰 분자가 항원이다(오른쪽). ‘사이언스’ 제공 그런데 낙타 혈장에
전형
적인 항체와 함께 특이한 항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보통 항체는 Y자 모양으로 긴 사슬(heavy chain) 두 개와 짧은 사슬(light chain) 두 개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낙타 혈장에는 긴 사슬 두 개로만 ... ...
태아 뇌는 보헤미안 랩소디를 클래식으로 생각한다.과학으로 분석한 퀸 음악
2018.12.08
락 가수가 아닌 클래식 음악가에 가까운 발성을 보였습니다. 일반적인 가수들의
전형
적인 비브라토는 5.4Hz와 6.9Hz 사이에서 나타나는데 반해, 프레디 머큐리의 비브라토는 7.04Hz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설적인 오페라 가수인 루치아노 파바로티와 비슷한 발성법입니다. 이로 인해 프레디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