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뉴스
"
제어
"(으)로 총 2,53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지역 과학 꿈나무와 노벨상 과학자의 만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15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카지타 타카아키 도쿄대 특별영예교수를 초청해 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특별 강연을 개최 ... 성공시키겠다"고 말했다. 트렌토 시스템즈는 대전 관제센터에서 제주도의 차량을 원격
제어
및 운행하는 자율주행 기술 실증에 나설 계획이다. ... ...
[인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실증로설계통합그룹장 허남일 △블랑켓기술그룹장 안무영 △원격
제어
로봇그룹장 김홍택 △고온초전도기술그룹장 오상준 △공학해석연구그룹장 권성진 △실증로계통연구그룹장 김웅채 △시뮬레이션연구그룹장 김성식 △데이터기술연구그룹장 한상희 ... ...
액체 방울 제조 기술로 '인공세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의미한다. 연구팀의 인공세포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보다 효소 반응을 정밀하게
제어
할 수 있어 실제 세포 공동체 시스템과 보다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이 교수는 ”여러 생화학적 반응을 시공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성 플랫폼을 만들었다“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연구팀은 향후 ... ...
손 하나에 엄지 둘 로봇 상용화 합격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수 있을지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용자의 운동 및 인지 능력만으로 로봇을 쉽게
제어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게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의 필수 조건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에게 세번째 엄지손가락을 활용해 물체를 이동시키는 실험을 ... ...
실험실 바닥에 갈라진 틈이…양자컴 '큐비트' 예술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다. 연구팀은 STM에 전자스핀공명이라는 방법을 접목해 전자스핀을
제어
하고 원하는 모양으로 원자를 배열해 큐비트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연구단 장비가 놓인 공간과 그 외 공간 사이에 틈(원 안)이 있다. 이대 연구협력관은 양자 연구를 위해 설계된 건물로 ... ...
강유전체 분극 분포 최초 규명…초고밀도 메모리 소자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강유전체의 크기와 형태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강유전성 분극 소용돌이를
제어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분극 소용돌이의 개수와 회전 방향을 조절하면 정보 저장 밀도가 기존보다 1만 배 이상 높은 차세대 고밀도 메모리 소자 기술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세브란스병원, 췌장암‧간암 대상 회전형 중입자치료기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5년 국소
제어
율 81%를 기록했다. 특히 종양의 크기가 4cm 이상으로 큰 경우에도 2년 국소
제어
율이 86.7%였고 2년 생존율은 68.3%로 높았다. 금웅섭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는 “췌장암과 간암은 주변에 정상 장기가 많고 발견이 늦는 경우가 잦아 수술이 어려운 상황이 많지만, 중입자치료는 ... ...
자유자재로 색 변화 조절하는 광소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순색을 이용할 수 있어 훨씬 더 선명하고 많은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최근 나노 구조의
제어
를 통해 빛의 순색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구조색 기술인 '능동적 색 파장 조절 기술'은 나노·광 응용 산업에서 유망한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문제는 지금까지 능동적 색 파장 조절 기술로 서로 다른 ... ...
500회 급속충전에도 멀쩡한 안정적인 전기차 배터리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연구팀은 산화알루미늄 입자가 리튬이온전지 음극과 전해질 간 계면을 효과적으로
제어
하고 리튬 이온의 빠른 이동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급속충전 시에도 리튬 전착을 막고 리튬이온전지의 안정적인 충·방전 수명을 확보할 수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리튬이온전지의 ... ...
[과학사극장] 파블로프는 개 실험에 종소리를 쓰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5.25
불렸다. 실험 조건 통제를 중요시하는 파블로프에게 자극의 지속 시간과 질을 정확하게
제어
하기가 어려운 종소리는 적절한 실험 도구가 아니었다. 그는 양적으로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전자 버저, 메트로놈, 불빛, 전기 충격 등을 자극 수단으로 활용했다.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이뤄진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