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천문박사"(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 다운사이징처럼 내 키가 12.7cm라면?과학동아 l2018.02.09
- ‘35.7세, 166cm’. 과학동아 편집부 기자들의 평균 연령과 평균 키다. 마감 기간 이들은 13만8000원 어치의 과자를 섭취하며, 퇴근 후 들이붓는 맥주의 양은 가늠하기 어렵다. 미래의 어느 날, 신박한 기계 하나가 발명돼 기자들의 몸을 14분의 1로 줄여버린다면 어떨까. 키 12cm가 된 기자들이 세로 25.7cm인 ... ...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7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원장 선임동아사이언스 l2018.01.23
- 23일 선임된 과기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신임원장들. 왼쪽 위부터 한승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임원장, 최희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신임원장, 이형목 한국천문연구원 신임원장, 나희승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신임원장. 아래 왼쪽부터 김종열 한국한의학연구원 신임원장, 임철호 한국항공 ... ...
- 한국 과학기술 토대 닦은 1세대 과학자들, 첫 ‘과학기술유공자’로동아사이언스 l2018.01.08
- 왼쪽부터 고(故) 이원철 국립중앙관상대 초대 대장, 故우장춘 한국농업과학연구소 초대 소장, 故최순달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초대 소장(前체신부 장관), 故故이휘소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 초대 이론물리부장. 이들을 비롯한 과학기술인 32명은 지난달 27일 첫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됐다. ... ...
- 2018년 기대되는 우주 탐사 계획들2018.01.07
- 우주를 향한 인류의 탐험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해에는 미 항공우주국(NASA)의 카시니가 토성에서 극적인 그랜드 피날레를 마무리했으며, 탐사선 주노가 목성 궤도를 순조롭게 돌고 있습니다. 2018년에도 제 2의 지구를 찾는 임무부터 태양과 수성 탐사, 블랙홀 관측 등 미지의 세계를 향한 흥미 ... ...
- 별의 생성과 소멸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블랙홀의 ‘질량’이다! 동아사이언스 l2018.01.02
- YouTube 제공 은하의 생성 과정을 보면 초기에 무수히 맣은 별이 빠르게 만들어지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별의 생성이 멈춘다. 그런데 이런 별의 생성과 소멸의 속도를 블랙홀의 ‘질량’이 결정한다는 연구 결과가 1월 1일 네이처에 발표됐다. 모든 거대 은하의 중심에는 태양보다 백만 배 이상 큰 ... ...
- 크리스마스를 수학과 함께! 메리 크리스MATH 파티수학동아 l2017.12.28
-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수학동아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크리스마스를 맞아 수학 강연과 퀴즈 및 퍼즐 대결, 천체 관측을 즐길 수 있는 '메리 크리스MATH 파티'를 12월 22일 금요일 서울 용산 동아사이언스 사이언스 사옥 사이언스홀에서 열었다. 파티의 1부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연구원 ... ...
- 국내연구팀, 큐비트 정보처리 개선하는 물질 현상 구현 동아사이언스 l2017.12.22
- 구글과 마이크로소트프, IBM 등 IT 공룡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양자 컴퓨터 기술이다. 국내 연구팀이 양자 컴퓨터의 정보 단위인 큐비트간의 정보교환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안경원 교수팀은 큐비트 물질이 빛을 매개 ... ...
- 2017 어린이과학동아 팬파티 어과동 캐릭터 총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10.30
- 지난 10월 14일, 용산 동아사이언스 사옥에서 팬파티가 열렸어요.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로 완벽하게 꾸민 어과동 독자 50명과 편집부, 만화 작가님, 섭섭박사님이 함께 했지요. 신나는 팬파티 현장으로 함께 가 볼까요? 어과동 편집부 제공 ● 어과동 캐릭터들이 나타났다! 10월 1 ... ...
- 우주 보는 ‘중력의 눈’ 위력 확인해... 중성자별 세밀하게 밝힌 것도 의의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우주 기원 밝히는 신호 찾았다! 중성자별 충돌로 발생한 중력파 첫 발견]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 ☞ [참여 연구자가 말한다] “멀리 떨어진 중성자별 관측 가능해져” - 김정리 한국천문연구원 리더급우수과학자 ☞ [중력파, 그것이 알고 싶다] 5학년도 이해할 ... ...
- 왜행성 ‘세레스’ 지명에 한국 神 이름 붙인다과학동아 l2017.10.13
-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인 왜행성 ‘세레스(Ceres)’에 우리말 지명이 붙은 것이 최근 확인됐다. 왜행성의 지명이 우리말로 명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천문학계에 따르면 국제천문연맹(IAU)은 올해 8월 말 세레스에서 발견된 크레이터(구덩이) 13곳의 지명을 공식 승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