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추측"(으)로 총 1,175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2 필즈상]제임스 메이나드 "소수는 모든 수의 원자이다"수학동아 l2022.07.05
- 4일 오후 8시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가 마르키 호텔로비에서 수학동아와 인터뷰를 나눴다. 제임스 메이나드는 2022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 ... △2017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회원 △2018년 옥스퍼드대 수학과 교수 △2019년 듀핀-쉐퍼 추측 해결 △2020년 콜 상 정수론 부문 ... ...
- [2022 필즈상]사상 두번째 여성 필즈상 수상자 "우크라이나에 희망 되길”수학동아 l2022.07.05
- 수학과 석사 졸업 △2013년 독일 본대학교 수학과 박사 졸업 △2016년 8, 24차원 ‘케플러 추측’ 해결 △2016년 살렘상 △2017년 클레이 리서치상 △2018년 2018 세계수학자대회 초청연사 △2018년 브레이크스루상 뉴 호라이즌 △2018년~현재 스위스 로잔 연방공과대학교 교수 △2019년 루스 리틀 새터 수학상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수학은 예술'이라고 말할 것 같은 친구, 허준이2022.07.05
- 내가 아는 모습만큼이나 모르는 모습도 많아졌을 것이다. 수학도 예술처럼 했으리라 추측해본다. 준이가 이 글을 읽는다면, 수학도 예술이라고 말할 것 같다. 필즈상 시상식에서 수상하고 있는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동아 제공 ※필자소개 박준택 님은 허준이 교수와 중학교 때부터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 인터뷰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얽매이지 않고 생각해야" 수학동아 l2022.07.05
- 교수와 3시간 동안 화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수학동아DB ○ 우연이 비결 Q. 수많은 추측을 해결했는데, 그 과정에서 어려움은 없었나. A. 수학자치고 배우는 게 느려서 모든 연구가 쉽지 않았다. 어떤 내용을 들으면 소화하는 데 오래 걸리는 편이다. 그래서 동료들에게 같은 질문을 여러 번 ... ...
- [엄상일 교수가 설명하는 허준이 교수 업적] 난제인 조합수학을 대수기하학이란 도구로 해결한 아이디어맨2022.07.05
- 허 교수는 그 후에도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조합수학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다. 필즈상 시상식에서 수상하고 있는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동아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한국 수학계 겹경사…단시간 최고등급 달성, IMU위원 선정·필즈상 배출까지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다시 한 번 놀라게 했다. 수학계에서는 대부분의 수학자들이 리드 추측이나 로타 추측 같은 문제를 평생 하나 해결하기도 어렵다고 보고 있다.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동아DB 이번 수상은 한국계로서 최초의 수상이다. 아시아 출신으로 지금까지 8명의 필즈상 수상자가 나왔다. 일본 3명, ... ...
- [2022 필즈상]사상 두 번째 여성 필즈상 수상자 배출…다른 세 명의 수상자들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교수가 해결한 쌍둥이 소수 추측은 약 173년, 더핀-셰퍼 추측은 약 81년, 에르되시의 오랜 추측은 약 25년 동안 정수론에서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문제로 유명하다. 필즈상 선정 위원회는 “정수론에 대한 이해도 높이는 데 공헌한 점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는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년 미국 스탠퍼드대 수학과 교수 △2021년 ‘브리로스키 추측’ 해결 △2021년 ‘도스-콜번 추측’ 해결 △2021년 삼성호암상 과학상 수상 △2021년~현재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2022년~현재 고등과학원 석학교수 ... ...
- [김영훈 교수가 설명하는 허준이 교수 업적] 허준이,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 2022.07.05
- 보이는 문제이다. 허 교수는 '교차수'의 재밌는 성질인 '호지-리만 관계'를 통해 로타의 추측이 참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여기서 교차수란 공간에서 다양체들이 몇 개의 점에서 만나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이차곡선과 이차곡선은 일반적으로 4개의 점에서 만나는데 이때 두 곡선의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시와 소설 즐겨쓰던 수학자 필즈상 수상 영예 안았다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표현도 나왔다. 이후 미시간대로 대학원을 옮겨 수학계의 오랜 난제였던 ‘로타 추측’도 해결했다. 김 교수는 “허 교수가 수학자로서 자신의 전성기는 막내를 대학에 보낸 뒤에야 올 거라고 말한 적이 있다”며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은 수학자로서 모든 걸 이룬 끝이기보다는 시작일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