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결
너울
웨이브
파랑
바다
wave
파동
뉴스
"
파도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만들 수 있다. 송영석 교수는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는 부표에 자기유체를 담으면
파도
의 힘으로 뒤흔들어 배터리로 쓸 수 있을 것”이라며 “균형을 잡기 위해 배 밑바닥에 싣는 물을 자기유체로 바꿔서 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똥에서 모은 가스로 모터를 돌려 ... ...
아이 등 이쁘다고 토닥토닥 했더니 전기 만들어져
2015.04.29
1mm 이하로도 제작할 수 있어 옷에 넣을 수 있고, 대형으로 만들어 바닷가에 설치하면
파도
의 압력으로 발전이 가능하다”며 “전해질이나 압전체, 축전지의 소재를 바꿔 효율을 더 높이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3월 26일자에 실렸다. ... ...
[미래를 듣는다 6] “사회 갈등 해결할 내적가치 찾아야”
2015.04.20
위해 바다로 들어갔고, 결국 거기서 최후를 맞았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초등학생도 왜
파도
가 치는지 알죠. 당시 인류와 지금의 인류를 비교하면 어마어마하게 발전한 거죠. 몇 천 년 뒤에 또 인간은 얼마나 더 발전할까요. 진리란 똑똑한 사람이 자기가 살고 있는 한 시대 동안 알아낼 수 있는 게 ... ...
보글보글 공기방울에서 전기 만들었다
2015.03.03
송 교수는 “연구를 계속 진행하면 5년 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바다
파도
위에서 작동하는 부이(부표)의 건전지를 우선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학술지 ‘나노 에너지’ 1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차가 막히는 이유? 옆차로에 끼어든 당신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5.02.17
느낀다.
파도
로 출렁이는 배는 저주파수 진동 운동의 대표적 사례다. 2∼3초마다 한 번씩
파도
로 출렁거리는 배의 주파수는 0.33∼0.5Hz. 귓속 전정기관은 1Hz 미만의 저주파수 진동을 신경계로 보내 멀미를 일으킨다. 실제로 전정신경을 잘라낸 동물이나 전정기관에 이상이 있는 사람은 저주파수 진동을 ... ...
일본 규모 6.9 지진, 원자력 발전소 이상 없나?
동아닷컴
l
2015.02.17
쓰나미가 도달할 수 있다”고 전했다. 현재까지 8시 48분께 이와테현 쿠지항에 0.1m의
파도
가 도달한 것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다. 한편 토후쿠 전력은 “이날 진도 2의 진동이 관측된 미야기현에 위치한 오나가와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아직까지 지진으로 인한 이상 상황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 ...
나미브와 타이탄의 기막힌 만남
2015.01.04
모두 바람이 만든다. 그래서인지 둘의 모양은 닮았다. ‘네이처’는 새해 첫 표지에
파도
를 닮은 특별한 모래언덕의 모습을 담아냈다. 표지 위아래에 나눠있는 모래언덕은 전혀 다른 장소에서 발견된 풍경이다. 아래의 갈색 사막은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이고 그 위 검은 사막은 우주에서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대략 영하 2도 이하로 내려가야 얼음이 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닷물은 물의 양이 많고
파도
가 계속 치기 때문에 실제로는 영하 20도 이하는 돼야 언다고 합니다. 또 겨울에 장독대의 물은 얼어도 간장은 얼지 않는 것도 어는점 내림 현상 때문이고, 겨울철 자동차에 부동액을 넣는 것도 어는점을 ... ...
뼈 붙인 뒤 재생까지 돕는 ‘홍합 단백질 접착제’
2014.12.18
많은 입 속에서 이뤄지는 임플란트 시술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합접착단백질은
파도
가 거세게 몰아치는 환경에서 홍합이 바위에 붙어 있게 만들어 주는 물질로 차 교수팀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홍합접착단백질을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진은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쿠퍼와 아멜리아를 착륙선에 실어 내려 보낸 모선(母船)은
파도
행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게 맞을 것 같았다. 마치 1969년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탄 달 착륙선이 달 표면에 착륙하고 마이클 콜린스는 달 궤도선에 남아 있었던 것처럼 말이다. 만약 영화에서도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