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31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유욕 강한 '골룸' 과학자 있다…5명 중 1명 과학계 떠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5.21
독일 마르틴루터 할레-비텐베르크대 생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이 이날 국제
학술
지 ‘원 어스’에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골룸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소유욕이 강하고 다른 과학자들이 자신의 영역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세력권을 형성하는 ... ...
스스로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반도체
동아사이언스
l
2025.05.21
갖춘 지능형 자가치유 시스템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지난 19일 온라인 게재됐다. doi.org/10.1038/s41928-025-01389 ... ...
이상목 생기원 원장, UST 명예교수 추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5.21
열렸다고 밝혔다. UST 명예교수는 UST 교원으로 15년 이상 재직하고 재직 중 교육·
학술
업적이 커 타 교원의 모범이 되는 사람 또는 재직기간이 15년 미만이더라도 스쿨 대표교수 등 보직을 역임한 사람을 대상으로 추대한다. 이 원장은 2018~2020년 생기원 스쿨 대표교수를 역임했고 연구 현장 ... ...
자연 광물서 초소형 메모리 구현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1
포논 디커플링(phonon decoupling) 현상이 일어난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20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브라운밀러라이트는 철 원자와 산소 원자가 만든 사면체 층(FeO₄)과 팔면체 층(FeO₆)이 번갈아 쌓인 독특한 구조로 이뤄진 자연 광물이다. 빵과 햄이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공룡덕후박람회' 행사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50여 명이 참석했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20일 부산 벡스코에서 생명연 설립 40주년
학술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 40년간 생명연의 주요성과와 첨단바이오 분야 전망을 구성원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향숙 생명연 명예연구원은 '한국형 유전체 연구의 시작'을 주제로 ... ...
[과기원NOW] 류석영 KAIST 교수 ‘임형규 대상’ 수상·전액 기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LEM-3'의 작동 방식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1일 국제
학술
지 '핵산 연구'에 공개됐다. 세포 분열은 하루에도 수십억 번 일어나는 과정으로 복제된 DNA가 두 딸세포로 제대로 분리되지 않으면 염색체 이상이 일어나 심하면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연구팀은 LEM-3 ... ...
한국원자력학회 춘계
학술
대회 개최…SMR·원전해체 현안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고 밝혔다. 한국원자력학회는 원자력에 관한
학술
및 기술 발전을 목적으로 1969년 설립된
학술
단체다. 원자력 산학연 전반에서 약 6700명이 회원으로 등록돼 12개 전문 연구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 ...
OLED 픽셀마다 다른 소리 스피커 없이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based Local Sound)' 기술을 구현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공개됐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시각뿐 아니라 청각·촉각 등 다중감각 경험을 디스플레이와 통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단순히 영상을 보여주는 것을 넘은 ... ...
백금 뛰어넘는 고성능·고내구성 연료전지 촉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연료전지용 촉매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4월 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공개됐다. 연료전지는 산소를 환원시켜 전기를 생산하고 물을 배출하는 산소환원반응이 핵심이다. 산소환원반응은 반응속도가 느리고 에너지가 많이 필요해 고성능 촉매 개발이 ... ...
"화성 표면 줄무늬, 액체 물 아닌 먼지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5.19
줄무늬의 원인이 물이 아닌 먼지 때문이라는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19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화성 표면의 거대한 줄무늬는 197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바이킹(Viking) 임무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줄무늬는 주변 땅보다 색이 어둡고 수백 미터 이상 길게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