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깊이"(으)로 총 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과 조화를 이룬 해외의 방폐장 시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16
- 올킬루오토 폐기장과 마찬가지로, DGR은 해수면보다 훨씬 낮은 곳까지 파고들어가 땅 속 깊이 방사성 폐기물을 보관할 예정이다. 역시 안정된 지반이라 휴런 호로 방사성 물질이 새어나갈 염려가 없으며 지표에서는 폐기물 처리장으로 들어가는 입구만 보인다. 이들 해외의 중저준위방사선폐기물 ... ...
- 마침내 가동한 경주 방폐장, 어떻게 운영되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16
- 포스마크는 해저 50m 암반에 터널을 뚫은 해저동굴 형태이며, 올킬루오토는 지하 60~90m 깊이에 처분장을 설치했다. 경주 방폐장 시설 조감도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천층처분은 땅을 얕게 판 뒤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어 폐기물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이 채택하고 ...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2015.04.02
- 017년까지 기초 탐사에 들어간다. 이윤수 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지하 7km 깊이까지 시추공을 뚫어 지하를 면밀히 조사할 계획”이라면서 “1300도가 넘는 액체 상태의 마그마를 직접 꺼낼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류자치(劉嘉麒) 중국과학원 원사(院士)는 “한국은 아시아 ... ...
- 막스 플랑크 연구소 출신 3인방, 식물에서 새로운 꿈 키운다IBS l2015.03.30
- 여러 변이를 실체화시키고 있다. 그에 더해 한국생태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의 특성을 깊이 연구하여 이를 활용한 생명과학과 생명공학 기초 연구의 틀을 마련하는 것까지 목표한다. 실질적으로 이 팀을 처음 설계하고 꾸려나가고 있는 김상규 연구위원은 지난해 7월 말 한국으로 들어와 연구실 ... ...
-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2015.03.17
- 농업 관개 전문 첨단 기업 ‘밸리 이리게이션’은 농작물이 뿌리를 내리는 흙 1.2m 깊이에 센서를 사용해 온도와 습도, 토양의 상태를 추적한 데이터를 관개 장비에 전송해 알아서 물이나 비료를 주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관개 장비와 토양의 센서가 서로 통신해 토양의 조건에 따라 물과 비료를 ... ...
- [만화] 9시 등교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KISTI l2015.02.02
- 그날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반복해서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데, 잠을 깊이 푹 자면 장기 기억 저장이 훨씬 더 잘 되기 때문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단다. 밤새 벼락치기를 하면 다음날 시험에는 도움이 되지만 며칠 지나면 몽땅 까먹어버리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지.” “거 ... ...
- [혁신의 열쇠] ‘십대의 낙관’으로 췌장암 조기진단에 성공하다KOITA l2015.01.26
- 상당히 커질 때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다는 점이다. 게다가 췌장은 위 뒤에 숨어서 몸통 깊이 자리해 엑스레이나 복부초음파 검사로 암을 발견하기 어렵다. 췌장암 환자의 85%가 암 말기에 진단받고, 생존 확률도 2%에 못 미친다는 게 불편한 진실이다. 그런데 2년 전 미국의 한 고등학생이 췌장암을 ...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2014.12.19
- 말이 나올 정도로 석기시대 유물이 풍부하다. 톰프슨 교수팀은 유물과 동일한 깊이에 있는 토양을 채취해 여기서 연대를 추정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석기시대는 크게 전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 이 중 후기석기시대 유물에서는 돌을 정교하게 갈아 만든 화살촉 등 현생인류도 만들기 어려웠을 ...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동아사이언스 l2014.11.24
- 석촌호수의 물량은 어느 정도나 될까? 단순하게 생각하면 ‘호수 면적 곱하기 호수 깊이’하면 될 것이나, 이 두 수치를 정확하게 알 길이 없어 석촌호수에 담긴 실제 물량은 아무도 모른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6 사진 5. 잠실의 석촌호수. 석촌호수는 옛 송파강의 구하도에 만들어진 호수다. 그림 3. ... ...
- 충적층 위의 아찔한 도시, 싱크홀 '대란'의 진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1.05
- 3개의 원인이 하수도 누수였다. 지난 7월 17일에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앞에서 생긴 깊이 5m 짜리 싱크홀이 대표적인 예다. 조사 결과, 이 싱크홀의 원인은 낡은 상수도관에서 흘러나온 물이 주변의 퇴적물을 쓸어간 탓에 생긴 빈 공간이었다. 국회의사당이 자리한 여의도 역시 한강의 충적층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