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각
인식
감각
집게손가락
센스
관찰
주시
스페셜
"
인지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발견부터 정복까지 드라마틱한 C형 간염 극복기
2020.10.06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높아졌고, 세포의 면역 시스템이 RNA 바이러스를 어떻게
인지
하는지도 분자 수준에서 알게 됐다. 그리고 바이러스에 대한 인간 면역세포의 작동 메커니즘도 상세히 알게 됐다. 이때 발견된 많은 지식은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원인 바이러스인 ... ...
트럼프 처방으로 다시 주목 받는 코로나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다른 부위를
인지
하는 또다른 단일클론항체를 함께 사용하는 칵테일 치료제의 효과 역시 측정 중인 만큼 추가 효과를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 기업 중에서는 셀트리온이 항체치료제 개발에 적극적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슬픈 질병 ‘퇴행성 뇌질환’ 극복을 위한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많은 연구에서 수면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사람이 더 오래 살고
인지
건강도 좋아진다는 것이다. 수면의 질이 좋지 않으면 치매를 유발할 수도 있다. 수면을 취하는 동안 우리 뇌는 신경 퇴행성 질환을 유발하는 잘못 접힌 단백질을 포함한 노폐물을 씻어내는 것으로 알려져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확진자, 여러 심장 손상 발견… 직접 인과관계 규명은 아직
2020.09.29
이러한 손상이 과연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직접적 결과
인지
여부는 확답할 수 없다. 관련해 코로나19 대유행 초기 의사들은 심장 질환이 없었던 일부 환자들이 심혈관 손상을 경험했다고 밝혀 코로나19와의 인과관계를 의심한 바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새 머리'라고 무시 마라 포유류 못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역시 송장까마귀에게 시각 자극을 가한 뒤, 새의 뇌 가장 바깥 영역에서 이 자극이 무엇
인지
를 인식하는 신경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니더 교수팀은 훈련받은 송장까마귀 두 마리에게 시각 자극을 가한 뒤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신경세포가 시각 자극에 대해 ... ...
[AI대학원 가이드] (상)난다 긴다 하는 AI전문가들, 어디서 공부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9.26
UCL 출신이다. 그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컴퓨터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인지
신경과학 박사 학위를 UCL에서 취득한 뒤 알파고 개발에 뛰어들어 세계적 성과를 냈다. 영국 UCL은 정부의 지원을 통해 마련한 AI 박사양성센터에 12만파운드(약19억2162만 원)을 지원받아 AI 기초연구와 헬스케어 관련 AI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①코로나19, 한국 대학을 시험대 올려놓다
2020.09.24
등록금에 의존하는 사립대학들이 이런 위기를 버텨 낼 수 있을까. 대학의 역할 변화를
인지
하고 차별화된 플랫폼 전략을 통해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학위 이외의 미래가치를 제공해 온 대학들만 살아남는 시대가 더욱 빨리 다가올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미래는 이미 위기가 시작된 우리나라 ... ...
코로나19 항체 진단키트 표준화할 기준 수치 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약 일주일 뒤에는 환자의 몸에 바이러스 단백질 일부를
인지
하는 면역 단백질인 이뮤노글로불린M(IgM)과 이뮤노글로불린G(IgG) 항체가 형성된다. 이 중에서 IgG 항체의 기준 수치를 표준화해 항체 테스트의 정확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표준화된 기준이 제시될 경우 각기 다른 ... ...
KAIST, AI에 한국인 희노애락 가르칠 감정DB 구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DB) 구축사업이 시작된다. 박주용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의 감정을
인지
하는 감성 기술과 지능형 영상 요약기술 개발을 위한 ‘감성 인식 AI 공공 DB 구축사업’에 나선다고 이달 24일 밝혔다. AI는 질병 진단이나 자율운전처럼 인간의 기계적 움직임과 판단력을 보완하는 ... ...
12명의 과학자가 소개하는 생명과학 최신 연구성과 유튜브서 본다
과학동아
l
2020.09.23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유전자 기능 연구’를, 김은경 DGIST 뇌·
인지
과학전공 교수는 ‘식욕을 조절하는 뇌의 비밀’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에서 진행된 12개 강연은 모두 유튜브 채널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조진원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장은 “생명과학자들의 지식을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