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스페셜
"
저장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비만, 코로나 백신 효과 제한적일 수도...백신 개발에 고려해야"
2020.10.21
마이애미대학의 내분비학자인 지안루카 라코벨리스는 "지방질 조직은 바이러스의
저장
고처럼 작용한다"고 말했다.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은 일부 연구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다. 비만은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당뇨병이나 심장병과 같은 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그 ... ...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20일 소행성 '베누' 표본 채집 생중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속에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수집한 표본은 실린더를 통해 빨아들여 탐사선 본체 속에
저장
하게 된다. 이번에 임무가 실패하거나 충분한 양의 표본을 채집하지 못했다면 오시리스-렉스는 내년 5월까지 다음 기회를 엿보게 된다. 오시리스-렉스에는 연료가 충분히 남아 있고, 자갈을 튀어오르게 할 ... ...
시각AI가 어종 판별, 가짜뉴스 색출도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시각 AI’를 개발하고 싶다”며 “머릿속에 연상되는 영상까지 시각 메모리로 만들어
저장
한 뒤 이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신경망 모델 경량화 대회 2~4위 휩쓸어 최근 전 세계 시각 AI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모델 경량화도 큰 이슈다. 이미지를 구분하는 시각 AI의 신경망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하다. 그러다 90년대 초반 인터넷이 보급되고 이를 이용해 예비논문(preprint)을 별도의
저장
소(arxiv.org)에 보관하고 유통하면서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처음에는 미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에서 관리하다가 지금은 코넬 대학교에서 운영 중이다.) 학자들이 이제는 논문을 쓰면 학술지로 보내는 대신 ... ...
[코로나19 연구속보] 당신의 반려동물도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하다
2020.10.13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동물들은 코로나19 발병 위험이 있으며, 이 동물은 바이러스
저장
소 역할을 하며 추후에 인간을 재감염시킬 잠재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또 동물 종간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얼마나 다른지 이해하기 위해 특정 종을 대상으로 보다 자세한 구조생물학적 분석을 ... ...
[과기장관회의]2030년 AI 반도체 시장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또 세계 1위의 메모리 반도체 개발 및 생산 역량을 활용해
저장
과 연산을 통합한 ‘지능형메모리반도체(PIM·프로세싱인메모리)’ 기술을 선점한다. 초기 수요와 연계한 기술사업화 장벽 해소 전략도 가동한다. 국가 AI·데이터 인프라 구축시 AI반도체를 선제적으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기억한다. 이렇게 외부 바이러스 등의 정보를
저장
한 부분이 크리스퍼(CRISPR)다. 이렇게
저장
된 정보는 세균의 유전체 안에 존재하므로 세균이 증식을 해도 증식된 세균에 그대로 복제돼 기억된다. 이렇게 크리스퍼를 가지고 있는 세균은 크리스퍼 RNA를 발현하고 캐스나인(Cas9)이라는 단백질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
2020.10.08
전산생물학은 빠르게 발전해나가기 시작했다. 월터 고드는 데이터베이스가 단순한
저장
소를 넘어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도구여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연구자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서 염기서열을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현재 유전자은행에는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침입하면
저장
해 둔 서열을 이용해 이 DNA를 제거하는 것이다. 크리스퍼는 바로 이렇게
저장
한 침입자 DNA의 서열을 말한다. 다우드나 교수는 박테리아의 자기 보호 시스템이 RNA 간섭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다우드나 교수, 복잡한 기전을 밝히다 박테리아가 고대의 면역체계를 가졌다면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뒤 다시 체내에 투여했다. 그 결과 환자의 체내에서 HIV의 번식과 HIV가 잠적해 있는
저장
소가 모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학계에서는 이미 크리스퍼로 에이즈를 완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크리스퍼를 활용해 에이즈 치료제를 개발 중인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