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탄소나노튜브를 마음대로 배치시킬 수 있다는 말이다. 또한 수직으로 성장시키기 때문에
기존
의 수평성장보다 높은 집적도를 얻을 수 있다.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7월에 열린 ‘나노튜브 2001’ 학회에 초청·발표돼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세계적인 권위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Applied Physics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1천억분의 1정도로 낮다.3백초 정도까지 장시간 운전하는 K스타 장치의 진공 용기 벽에는
기존
의 토카막에 필요없던 특별한 조치가 취해진다. 벽을 이중으로 만드는 일이다. 이중벽은 벽 사이에 뜨거운 물을 흘려 벽에 붙은 물 같은 불순물을 증발시켜 제거한다. 또 운전 중에는 보론이 첨가된 물을 ... ...
약물 안전하게 수송하는 분자 곶감타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조립된 전자나노컴퓨터’를 실현시키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기존
기술의 벽을 깨부수며 재료공학과 컴퓨터공학의 신세계를 개척하는 선두에 바로 초분자화학이 있는 것이다. 노벨상에 가장 근접한 분야20세기의 처음 반세기는 물리의 시대였으며 나중 반세기는 화학의 시대였고, 21세기는 ... ...
시판허가 내려진 응급피임약 논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이번 응급피임약의 합법화를 계기로 낙태수술로 병원 수익의 상당부분을 의존해온
기존
의료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이처럼 응급피임약을 둘러싼 논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어쩌면 판매가 허용된 지금부터가 진정한 논쟁의 시작인지도 모른다. 성적 윤리가 결여돼 가고 있는 우리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진공 용기 벽의 접촉을 막아 플라스마의 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즉 구속 시간을 늘인다.
기존
의 진공 용기 속에는 플라스마의 경계를 정하는 리미터라는 구조물이 존재한다. 이 경우 플라스마가 리미터에 직접적으로 접촉해 플라스마 입자가 손실되거나 불순물이 유입돼 플라스마의 온도를 낮춘다.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① 원자세계 신출귀몰한 조화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같은 정확도로 대응하는 고전계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량보다 지수적으로 훨씬 커서
기존
컴퓨터로 양자계를 시늉내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당시에는 양자컴퓨터의 실용성을 전혀 상상할 수 없었으므로 그 후 10여년간 사람들은 “양자컴퓨터라는 이름이 멋있기는 한데, 그래서 어쨌다는 ... ...
노벨상 도전하는 세계적 과학자 양성 과학영재학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자퇴파동이 일어나 영재교육 이미지가 상당히 실추해있는 상황이다.과학영재학교는‘
기존
교육의 틀을 깨뜨려 노벨상에 도전하는 세계적인 과학자를 육성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됐다. 과학고 설립 초기의 모습으로 되돌아가 본격적인 과학영재교육을 실시하자는 의지가 담겨있는 것이다 ... ...
ㅣ인간복제 반대ㅣ 인간존엄성 정면 도전하는 인간복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집단과 복제인간의 관계가 신분적 상하 또는 종속된 관계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들은
기존
사회나 생명 윤리체계의 심각한 혼란을 초래하면서 엄청난 사회 문제를 일으킬 것이다 ... ...
에이즈 백신 안전성 입증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물리친다는 것이다.이 같은 유전자 치료제는 근원적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의 약물과 구별된다. 성 교수는 GX-12의 안전성이 입증됨에 따라 조만간 리투아니아에서 추가 임상실험을 할 계획이며 내년 상반기에는 치료 효과를 검증하는 임상실험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예정이다 ... ...
칩 위에 구현되는 마이크로 화학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쓰면 되고, 만일 사고가 나더라도 규모가 매우 작기 때문에 그 피해도 크지 않다. 또한
기존
실험장치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규모를 엄청나게 줄인셈이므로 경제적인 이득이 매우 크다. 예를 들어 지름 3cm의 플라스크 대신 1백분의 1크기인 3백μm 마이크로반응기를 쓸 경우 시료의 양을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