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안으로 끌어들였다. 주말이면 손녀를 보는 재미에 중요한 일 외에는 약속을 잡지 않았다.
덕분
에 그는 연구에 매진할 수 있었다. 그러다보니 ‘사회적 수요가 거의 없어져서’ 국제활동으로 눈을 돌렸다고 한다. 학회 참석, 강연, 공동 연구 등으로 1년에 5-6차례 외국에 나다니게 됐다.“교수님은 ... ...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센서는 충전대에서 내보내는 적외선을 수신해 청소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덕분
에 청소를 끝마쳤거나 청소 도중이어도 전원이 부족할 때 로봇 청소기는 자동으로 충전대로 복귀해 충전을 한다.10년내 컴퓨터처럼 보급될 전망LG전자는 로보킹을 개발하기 위해 지난 3년 간 60여억원의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한번이라도 살펴본 사람이라면 찌그러진 에이치(H)자를 닮은 별자리의 특이한 모습
덕분
에 금새 찾을 수 있다. 구상성단 M13은 헤르쿨레스자리의 북서쪽에 자리하고 있다. 엄밀하게 M13은 에타(η)별과 제타(ζ)별을 잇는 가상의 선을 3등분했을 때 에타별로부터 1/3 지점에 위치해 있다. 또 M13의 바로 ... ...
껌과의 전쟁 과학자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플리어 사에 근무하던 미국의 월터 다이머가 풍선껌에 분홍색 색소를 첨가해 제조했던
덕분
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풍선껌이 유럽의 암시장에서 거래되기도 했는데, 이런 이유로 이후 유럽의 암시장이 핑크마켓(Pink Market)이라 불렸다고 한다. 전쟁 당시 미군에게 지급됐던 껌이 유럽을 비롯한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서울대 천문학과가 참여한 그룹이 두뇌한국(BK)21 사업단으로 선정됐고 BK21 사업단의 지원
덕분
에 연구인력을 일본에 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일본의 첫번째 적외선우주망원경 애스트로-F는 우주에서 아주 오래된 은하를 관측할 수 있는 야심작이다. 적외선을 통해 우주를 보면 성간먼지의 영향을 ... ...
로봇과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로봇이 처음부터 인간을 멸망시키는 나쁜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면서 “일본은 아톰
덕분
에 처음부터 인간을 위해 싸우는 좋은 이미지로 로봇이 정착됐다”고 말한다.스승인 가토 교수의 만남은 꿈을 이루는 과정에서 필연적인 일이었다. 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로봇은 그렇게 간단히 만들 수 ... ...
3 표적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상승, 그리고 암환자의 증가추세가 주요 이유다. 물론 그간의 치료효과가 좋았던
덕분
도 있다. 치료시대의 초반인 1950-60년대에는 양성자 시설들이 대부분 물리실험에 집중적으로 사용됐었고, 잘못된 치료에 의한 부작용이 생겨 입자를 이용한 암치료에 대한 인식도가 높지 못했다.앞으로도 양성자 ... ...
아마존 성공비결은 네트워크 판촉전략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효과적 경제 활동아마존에서 이같은 e메일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것은 네트워크를 활용한
덕분
이다. 평소에 같은 책을 구매하는 사람들을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유사한 주제를 가진 책들을 서로 링크시켜놓는다. 이를 기반으로 신간이 출판됐을 때 어떤 고객이 이 책을 구입하면 이 사람과 링크돼 ... ...
입 속 세상 다스리는 구강청정제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광고를 보면 간편한 가글만으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특유의 향
덕분
에 기분이 상쾌해질 뿐만 아니라 입냄새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에게도 환영받고 있다. 그래서 직장인의 기본적인 에티켓으로 생각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구강청정제를 사용한다고 해서 모든 입냄새가 ... ...
범인 신원 밝히는 결정적 단서 DNA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일이 가능해진 것은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이라 불리는 기술
덕분
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DNA 사슬 가운데 일부분을 확대시키거나 대량 복제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협박편지의 우표 뒷면에서 발견되는 소량의 타액으로도 생물학적 복사기라 할 수 있는 중합효소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