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수께끼 3] 캐럴이 사랑한 수 42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에도 수학 수수께끼가 곳곳에 담겨있다. 이번 기회에 앨리스 시리즈를 다시 보며 미처
발견
하지 못했던 수수께끼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 앨리스를 즐기는 또 다른 방법이 될 것이다 ... ...
깨진 원형 유물, 어떻게 복원할까?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다른 모양의 유물에 비해 비교적 원래 모양을 복원하기가 쉽다. 원형 유물은 깨진 일부만
발견
되더라도 두 현의 수직이등분선으로 원의 중심을 찾으면 원래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원형 유물 복원에 앞서 원의 중심과 현의 수직이등분선사이의 관계에 대해 알아 보자. 왼쪽 그림에서 보듯이 ... ...
조울증인지 아닌지, 스마트폰은 알지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96% 일치했다.오스마니 박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행동 분석이 조울증 환자를 조기에
발견
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학술지 ‘편재형 컴퓨팅’ 가을호에 실렸다 ... ...
바이러스도 ‘생명의 나무’에 그려 달라!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새로운 방법을 시도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와 세포에서 공통적인 접힘 구조 442개를
발견
했다. 연구진은 이것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완성했다.구스타보 교수는 “바이러스가 (세포와 바이러스의 공통조상으로서의) 고대세포에서 유래했으며, 오늘날 세포의 조상과도 공존했다”고 주장했다 ... ...
암흑물질
발견
, 이번에는 진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교수는 지난해 12월에도 페르세우스은하, 안드로메다은하에서 같은 고에너지 X선을
발견
한 바 있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XMN 뉴튼 우주선이 수집한 X선 데이터를 분석해 이번 연구결과를 얻었다.기존에 알려진 입자들이 만들어낸 데이터와 노이즈 데이터를 제거하고 남은 미지의 데이터들의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이런 흙이?한 연구자가 땅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언젠가 화성의 흙에서도 미생물을
발견
할 수 있을까. 1 여기서도 감자를 키울 수 있을까?1층 연구공간에서 한 연구자가 밖에서 채취한 돌의 성분을 분석하고 있다. 다른 연구자는 영화 ‘마션’의 마크 와트니(맷 데이먼 분)처럼 식물을 키우고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김담은 조선의 관측천문학 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604년 조선 일관들의 초신성
발견
과 김담을 연관지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세종은 1449년 말에 혜성이 나타났다는 보고를 받고 이순지와 김담에게 혜성을 관측하라는 명을 내렸다. 이 혜성은 조선시대에 아홉 번째로 나타난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독니와 독을 저장하는 독샘의 흔적을
발견
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중국에서
발견
된 이 작은 육식공룡에게는 기다란 윗이빨이 있었는데, 이 이빨의 표면에는 독소가 지나갔을 법해 보이는 홈이 보였다. 연구팀은 윗이빨 위에있는 작은 공간에 독샘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하지만 정말로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얻기도 쉽다. 또한 일반적인 합성 과정으로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골격의 물질을
발견
할 가능성도 높다. 실제로 천연 화합물 중 약 40%는 합성 화학으로는 얻는 게 불가능하거나 합성이 어려운 매우 독특한 구조다. 이번에 노벨상을 수상한 아르테미시닌을 인공적으로 합성하기 위해서는 128개나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지능 탄생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유형으로 분류한 뒤 컴퓨터에 ‘딥러닝’시켰다. 딥러닝 기술은 많은 데이터에서 패턴을
발견
해 사물을 구분하는 정보처리 방식으로 시각 분야 인공지능을 구현할 때 주로 적용한다. 대니엘 카스토 박사과정 연구원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인간의 행동을 83%의 정확도로 예측했다”며 “머지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