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건축학부 교수의 작품이다. 건축의 경계를 탐구한다“제가 하는 연구나 작품을
보고
'도대체 건축에서 왜 저런 걸 하지?'하는 의문이 든다면 좋겠어요.” 황 교수는 '디자인 정보학' 또는 ‘디자인 테크놀로지’라고 하는 세부 분야를 연구한다. 과거에는 캐드(CAD)라고 부르던 영역을 포함하는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발표했다. 폐로 숨을 쉬는 자라가 자꾸 머리를 웅덩이에 담그는 모습을
보고
의아하게 생각하다 시작한 연구였다.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노폐물은 요소가 많다. 그런데 연구팀은 자라의 신장을 통해 걸러지는 요소가 전체의 6%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자라가 머리를 담그고 있던 웅덩이의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수학콘서트도 공상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자리였다. 프랙탈 구조를 음악으로 들어
보고
,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 건축과 기욤 뒤파이 음악 사이에 어떤 수학적 유사성이 있는지 찾아보았다. 수학과 음악에 숨어 있는 균형과 대칭이라는 유사성에서 새로운 공상이 출발할 수 있다는 것이 ... ...
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바뀔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늦여름·초가을에 몰려왔던 태풍은 오는지 가는지도 모르게 지나갔다. IPCC의 다섯 번째
보고
서는 온실기체 감축 정책에 따라 얼마나 기후변화 결과가 달라지는지를 보였다. 과연 미래 기후는 어떤 시나리오를 따라갈 것인가. 반팔 티셔츠와 패딩 점퍼가 동시에 보이는 창밖의 광경을 보면서 수 년 뒤 ... ...
머리카락,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다시 뭉쳐 모낭세포를 만든다. 연구진은 인간의 모유두 세포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보고
쥐 피부에 인간의 모유두 세포를 이식했다. 그러자 쥐의 피부에서 인간의 모유두 세포는 다시 모여 모낭세포를 만들었다. DNA 검사 결과에서도 인간의 모낭세포가 맞다는 결과가 나왔다. 크리스티아노 교수는 ... ...
‘빛’을 테마로 한 과학관 생겼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151점의 첨단 과학물을 전시했다. 과학관 관계자는 “전시물 가운데 관람객들이 직접
보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체험형 전시물이 81%로 국립과학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빛과 예술관’에서는 빛이 탄생하고 소멸하는 과정을 실감나는 3D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다. 빛이 어떻게 생명을 ... ...
오직 근육의 힘으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모습이었다. 입술 한쪽이 다 터지고 손도 상처투성인 그는 “올해 1월 홍보포스터를
보고
작은 모형 항공기가 아닌, 실제로 사람이 탑승하는 항공기를 만든다는 생각에 정말 설렜다”고 말했다.하지만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다. “날개를 대칭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오른쪽 날개만 두 개를 ...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포기하고 싶어진다.이 책은 먼저 밤하늘을 그냥 바라보는 일부터 알려준다. 맨눈으로
보고
쌍안경으로 본다. 복잡한 공간은 잊는다. 그 뒤 별자리 이름을 배우고, 그 다음 비로소 돌입하는 게 천구 개념을 이해하는 일이다. 허공의 3차원 좌표의 중심에 지구가 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면 별 관측을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병적 흥분 증상이나 정신분열, 다중 인격 장애 같은 질환과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고
보고
하고 있습니다. 증상이 다양한 것으로 보아 원인이 하나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런 증상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사람에게 현대 과학이 완벽한 치료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건 사실입니다. 지푸라기라도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개념이 막연했다. 학생 신분으로 개발한 기술에 대해 특허를 여러 개 냈는데, 그 특허를
보고
한 회사가 R&D를 의뢰한 게 시작이었다. 이때의 창업은 졸업 이후 흐지부지 끝나고 말았다. 사실상 회사를 만드는 게 어떤 일인지 알게 됐다는 면이 컸다.조 대표는 대학 졸업 후 대학원에서 과학기술 관련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