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대사(代謝)의 출발점을 구성하는 중간대사물 대체로 영양소로서 생체
세포
에 들어온 갈락토오스는 갈락토키나아제의 작용으로 ATP와 반응하여 α-d-갈락토오스-1-인산이 되고, 핵소오스-1-인산우리디릴전이효소의 작용으로 우리딘이인산갈락토오스를 거쳐 글루코오스-1-인산으로 변환되어 글루코오스 ... ...
아인슈타인과 디카프리오 합친 아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치료제 등 생체 흡수율이 낮은 단백질 약물의 흡수율을 크게 높일 전망이다.줄기
세포
를 이용해 조직이식 거부반응이 없는 생체장기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생체장기는 무엇보다 면역부 반응이 없기 때문에 병든 장기를 새 장기로 교체하는 등‘6백만불의 사나이’가 가능해진다. 전문가들은 10여년 ... ...
죽음 부른 다이어트 약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적은 정도지만 방출된 세로토닌이 원래의 신경
세포
로 다시 흡수되는 과정도 막는다. 신경
세포
말단에는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을 다시 흡수하는 재흡수 채널이 있다. 이 재흡수 채널을 방해하면 분비된 세로토닌이 다시 흡수되지 못해 실제로는 더 많은 세로토닌이 분비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 ...
재미 과학자 뇌
세포
사멸 역할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있다.유박사의 스승인 같은 대학 테드 도슨 교수는 “이번 발견은 과학자들이 신경
세포
가 어떻게 죽는지를 이해하고 각종 뇌질환의 정복을 앞당기는데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다.유박사는 1999년 서울대 미생물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이듬해 부인 김은경 박사와 함께 도미해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 작은 뇌를 갖고도 지구에 잘 적응해 성공적으로 살아왔다. 파리와 인간의 뇌 신경
세포
는 구성물질, 전기적 특징, 그리고 정보를 만들고 전달하는 방식에 많은 공통점이 있다. 이런 구조적인 공통점 말고도 파리는 인간과 거의 같은 공간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겪고 있는 많은 문제들을 함께 ... ...
기후 변화 간직한 자연계의 하드디스크, 나이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때 만들어진
세포
는 크기가 작고
세포
벽이 두꺼우며 단단하고 진한 색을 나타낸다.
세포
분열은 7월을 고비로 급격히 둔화되며 8월말에서 늦어도 9월 중순에 이르면 모든 분열활동을 중단하고 이듬해 봄까지 긴 잠 속에 빠진다. 이렇게 ‘하재’(夏材)라는 부분이 생긴다.춘재와 하재는 나무의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경기장의 조명이나 햇빛 아래서 눈에 잘 띈다. 긴 파장(빨강)에 민감한 눈의 원추
세포
가 주로 밝은 곳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기 때문이다. 또 그라운드의 초록색은 붉은색의 보색이라 축구복의 붉은색은 더욱 도드라진다. 그래서 경기장의 관중이나 길거리응원단이 태극전사들을 주목하기 쉽다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살아있는
세포
의 위치 변화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다양했으며, 놀랍게도 어떤 다
세포
체는 자신의 초기모습과 같은 개체를 사방으로 복제시켰다.‘인공생명’(artificial life) 연구는 1987년 크리스토퍼 랭턴에 이르러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잡았다. 랭턴은 단순한 몇개의 규칙을 가진 생명체를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좀더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미지의 환경(항원)에 끊임없이 자극(공격)을 받는 로봇(B
세포
)은 이에 적당한 행동 전략(항체)을 개발한다. 최종적으로 가장 자극을 많이 받은 로봇의 행동 전략이 시스템 전체의 전략으로 결정된다. 이 방법은 아직 구체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개념 수준에 ...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없고, 마치 창문을 가로로 배열해 놓은 듯한 독특한 모습 때문에 유명하다. 창상벽공의
세포
모양을 가진 나무는 세계적으로 하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필자는 무령왕의 관재가 금송임을 금방 알아챌 수 있었다.고야산에서 자라는 큰 나무금송은 겉씨식물 바늘잎무리(침엽수)에 속하는 늘 푸른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