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지원하고, 지도 제작에도 사용되는 등 활용도가 매우 높다. 우주의 ‘멀티플레이어’인
셈
이다. 그래서 아리랑 2호는 ‘다목적실용위성’으로 불린다. 지난해 동남아시아에서 지진해일 쓰나미(tsunami)가 발생했을 때 전 세계에 참사 현장을 있는 그대로 확인시켜준 것은 미국 디지털글로브사의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즉 붉은 색을 볼 때는 파란색을 볼 때보다 거의 2배 가까운 감광세포들이 활성화되는
셈
이다. 그래서 붉은 색은 청색에 비해 눈에 잘 띈다.또 장파장인 붉은 색은 다른 색에 비해 초점이 망막보다 조금 뒤쪽에 맺힌다. 붉은 색의 사물을 정확히 보려면 초점이 망막 위에 맺히도록 수정체를 조금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사용될 배아줄기세포는 몸에서 갓 꺼낸 게 아니라 몸밖에서 인공적으로 배양한 세포인
셈
이다.성체줄기세포는 간, 피부, 심장, 신경, 골수 등 장기가 이미 갖고 있는 재생용 세포다. 간이 손상된 경우 간에 있는 줄기세포가 스스로 복구한다. 성체줄기세포는 인체 ‘백업시스템’인
셈
.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오른쪽에 시선이 머물게 된다”고 설명했다. 가로본능이 오른쪽 ‘편애’를 낳은
셈
. 영화나 드라마에서 극적 효과를 위해 등장인물의 동선을 따라 카메라를 가로로 한번 이동시키는 ‘패닝’(panning) 기법을 쓰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카메라 패닝의 90% 이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카메라를 움직인다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훨씬 높기 때문이다. 나노공이 화학반응이 좀더 잘 일어나도록 돕는 촉매 역할을 하는
셈
. 뿐만 아니라 나노공의 표면은 물을 좋아하는 사슬 부분이기 때문에 유기용매가 아닌 수용액에 넣고도 이 같은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앞으로 화장품이나 의약품 같은 유기화합물을 합성할 때 나노공을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난자 모두 ‘건강한’ 여성 1명의 것이었기 때문에 그 줄기세포는 ‘여성용’이었던
셈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배아줄기세포를 추출했다. 뿐만 아니라 환자 자신의 체세포에서 줄기세포를 얻었기 때문에 이를 환자에게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0만화소(2005년) 카메라폰이 등장했다. 이미지센서 역시 평균 1년에 2배씩 화소수가 늘어난
셈
. 이미지센서 개발 기업인 엠텍비젼의 이주석 연구소장은 “이미지센서에 광다이오드를 많이 집적할수록 화소수가 많아진다”며 “이미지센서 기술은 반도체 기술과 마찬가지로 집적도의 문제”라고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808년 외딴 섬마을 동화도에서 종이가 수송선과 함께 불타는 사고가 벌어진다. 사건 해결을위해 '조선과학수사대' 원규 일행이 동화도로 파견된다. 섬에 도착한 첫날, 참혹한 살인 ... 살해됐는가’를 밝힐 뿐 아니라 조선시대 과학수사대의 수사 지침이 된 법의학 지식창고였던
셈
이다 ... ...
수성, 금성, 토성이 한 자리에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각도 이내에 들면 행성직렬이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행성직렬의 기준은 상당히 광범위한
셈
이다.행성직렬이 세기말 현상에 편승해 관심의 대상이 된 이유는 행성이 일직선으로 늘어서면 행성들의 중력이 합해져서 지구에 특이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이유 때문이었다. 하지만 과학적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대항하기 위해 이 항체를 만들었는데 막상 기생충이 없으니 엉뚱한 것들을 공격하는
셈
이다.그렇다고 알레르기나 대장염를 치료하기 위해 몸 안에 기생충을 달고 살아야 할까. 상식적으로 그럴 수는 없다. 기생충 연구는 신약 개발과 새로운 치료 기술로 이어진다. 신명헌 교수는 “기생충이 우리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