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도 패러독스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전통 요리인 카레를 즐겨 먹기 때문이죠.”국내 최대 카레제조업체인 오뚜기의 중앙연구소 정승현 수석연구원은 카레예찬론자다. 카레는 여러 가지 향신료가 조합된 요리에 대한 통칭이다. 우리가 익숙한 카레는 그 가운데 강황이 주된 재료로 쓰이는 인도식 카레다. 생강과(科) 식물인 강황의 ... ...
- 뱀장어에 고등어 꼬리 붙이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뱀장어처럼 헤엄치는 고등어가 경주를 펼치면 누가 이길까.미국 미네소타대 기술연구소 포티스 소티로폴리스 교수팀이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따르면 승부는 그때그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물의 흐름에 따라 알맞은 물고기 체형과 수영법이 있기 때문이다.연구팀은 고등어의 영법을 따라 ...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과학동아 l2010년 03호
- KAIST 엔터테인먼트공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체감형 게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소 우탁 선임연구원은“체감형 게임 연구도 일시적인 성적향상보다 기능성 게임을 통한‘학습동기부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기업과 공동으로 연구 컨소시엄을 구성해 체감형 ... ...
- 재난 예측, 예언보다 수학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아이티의 지진, 미국의 1m가 넘는 폭설 등 올해들어 재난 소식이 그치지 않는다. 해마다 몰아치는 태풍이나 무서운 화산과 같은 재난 앞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미리 예측해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π와 함께 하는 수학파티 π-day 파티에 입장! 오늘의 ... ...
- 태풍에서 기상예보까지수학동아 l2010년 03호
- 대지. 태풍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 텐데….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이용희 박사님께 방법을 여쭤 보도록 해.태풍은 중심 풍속이 초속 17m가 넘는 강한 폭풍우를 동반한 열대저기압을 뜻합니다. 적도 부근의 바닷물 온도가 27℃가 넘는 지역에서 생긴 태풍은 ... ...
- 건축환경계획공학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한다. 박사과정을 마치면 대학교, 정부기관연구소, 건설회사 연구소, 설비설계사무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취재 한마디서울대 건축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건축환경계획은 우리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연의 에너지를 활용하고 실내 ... ...
- Logging on to the Ivy League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반영한다. 매사추세스공대(MIT)의 수학자로부터 대수학을 배우길 원하거나, 미국 요리연구소 강사가 맛있는 파스타를 어떻게 만드는지 구경하길 원하거나, 버클리 음대 교수로부터 블루스 기타를 배우길 원하거나, 무엇을 원하든 간에 이제는 컴퓨터 앞에 앉아서 이 모두를 무료로 해볼 수 있다 ... ...
- 탄소 다이어트 집에서 따라하기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얘기일 수 있지만 서양식 아침식사는 온실가스 제조기나 다름없다.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에 따르면 토스트와 계란 프라이, 샐러드, 요구르트, 커피로 구성한 서양식 아침식사가 상위에 오르기까지 무려 1200g나 배출된다. 이는 휴대전화를 66시간을 쉬지 않고 통화하거나 냉장고를 48시간 돌릴 ...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과학동아 l2010년 03호
- 하나가 됐다.솔크 연구소는 현재 700여 명의 연구원과 300여 명의 스태프가 상주하는 작은 연구소지만, 노벨상 수상자만 5명을 배출하고 수십 명의 수상자가 거쳐 간 세계 최고의 생명과학 연구기관이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이곳에서 연구하는 과학자들 사이에선 오랫동안‘그들만의 미신’이 ...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과학동아 l2010년 02호
- 12월 월평균 북극진동지수가 -3.2로 최근 60년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고 밝혔다. 극지연구소의 김백민 박사는 “한파가 계속되던 1월 중순에도 일일 북극진동지수가 최대 -6까지 떨어졌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1950년 이후 월평균 북극진동지수가 -3 이하로 내려간 경우는 1~2번뿐이었고 게다가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