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기
백척간두
위급
모험
누란지위
위태
고비
d라이브러리
"
위험
"(으)로 총 4,42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1백분의 1초 길이로 잘라져 원래의 정보와 비교되는 것.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분실의
위험
이 없고 원격지에서도 인증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감기라도 걸려 목소리가 변했을 때는 알아듣지 못한다는 결정적인 약점이 있다. 또 주위의 소음에도 영향을 많이 받으며 녹음된 목소리를 ... ...
란트슈타이너, 인간의 혈액형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절망상태에 빠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쓰질 않았다. 항상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너무
위험
했기 때문이다.그런데 남미의 인디언들만은 자기네 부족끼리 아무런 문제없이 자유롭게 수혈하고 있었다. 왜 인간은 자유롭게 수혈할 수 없을까, 왜 인디언만은 예외인가 하는 궁금증은 란트슈타이너의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한다.한편 수산화나트륨(NaOH)은 유기물질을 분해시키거나 알루미늄을 녹여버리는
위험
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막힌 하수도를 뚫어주기도 하고, 묽은 용액은 옷감에 묻은 때를 지우기도 한다. 이것은 수산화나트륨이 물에 녹으면 수산기(O${H}^{-}$)가 나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물에 녹아 수산기 ... ...
변화무쌍한 얼굴색의 정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이런 증상을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거미줄 모양의 핏기가 나타나면 간이
위험
하다는 신호다.흑인 황제 가수의 비애한편 얼굴이 노랗다고 해서 반드시 황달을 의심할 필요는 없다. 얼마전 40대 아주머니가 중학생 딸아이의 얼굴색이 노랗게 변했다며 병원을 찾았다. “간에 이상이 ... ...
② 잠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자다 숨이 자주 멈추는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수면제를 복용하면 증세가 더욱 심해질
위험
이 있다. 불행하게도 한국 에서는 불면증에 대한 정확한 원인 분석 없이 수면제를 남용하고 있는 실정이다.가장 좋은 치료책은 스스로 좋은 수면 습관을 익히는 것이다(표1). 하지만 잘 안될 경우 전 문의를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충분한 내용 파악이 안된 상황에서 섣부르게 찬성과 반대를 결정짓는 일 이 얼마나
위험
한지를 스스로 깨달았다.한편 시민 패널이 이전까지 지녔던 과학기술자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깨졌다는 점이 흥미롭다. 과 학기술자의 주장 역시 허점이 많았고, 자신의 울타리 안에서만 지내온 탓에 자신만이 ... ...
케플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모양새를 갖췄다. 예를 들어 우주비행의 어려움에 대해 "최초의 운동이 가장 괴롭고
위험
하다. 화약의 힘을 빌려 몸이 하늘로 던져 올려지기 때문"이라고 묘사했으며, 성층권에 들어서면 "혹독한 추위가 닥치고 호흡할 공기가 없어진다"고 말했다.한편 케플러는 달을 뜨거워 바싹 말라버렸거나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변한지 오래다. 작년부터 지구에 근접해 충돌을 일으킬 소지가 있는 소행성들의
위험
성이 경각 되면서 지구 근접궤도를 갖는 소행성(NEO)을 찾고 추적하는 작업이NASA를 중심으로 이루어지 고 있지만, 이러한 근접소행성들은 일반 소행성과는 매우 다른 궤도를 가지고 있고, 연구가치 또 한 높다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을 잘 수 있다. 그러나 얼룩말 등 초식동물들은 항상 주변을 경계하며 선잠을 자야
위험
에 처하지 않을 수 있다. 약육강식의 동물세계에서 펼쳐지는 잠의 백태를 알아본다.동물은 왜 자게 됐을까 - 돌고래는 좌우뇌가 교대로 잠을 잔다잠을 많이 자는 잠꾸러기 동물들이 모두 맹수인 것만은 아니다.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물에 살짝 담그거나 눈뭉치 안에 조그만 돌멩이를 넣는 요령꾼들도 있는데, 이는
위험
한 반칙이다. 눈싸움은 모름지기 눈처럼 하얗게 정정당당히 싸워야 한다.그러니 우선 양지쪽을 점령해야 찰진 눈으로 눈뭉치를 빨리 만들고 단단하게 만들 수 있다. 양지의 눈은 햇볕에 살짝 녹아 수분이 많기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