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114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챗GPT, 수학자에게 위협이 될까
수학동아
l
2023.06.03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직업 중 하나’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습니다. AI의 영향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합니다. 챗GPT가 그 분야에 도움을 주거나 심하면 일자리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챗GPT를 수학 문제 푸는 데 이용해본 사람이라면 고개를 ... ...
수학계 50년 난제 해결…반복 구조 없는 무한 패턴 '타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가능하다. 스미스 연구팀은 앞서 지난 3월 비주기적 타일링이 가능한 도형 ‘모자’를
발표
했지만 모자와 모자를 좌우반전한 도형 2개가 있어야 반복구조 없이 무한히 평면을 채울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하나의 도형이 아닌 두 도형이 있어야만 비주기적 타일링이 가능했던 것이다. 이번에 ... ...
졸업생 토크콘서트에 장학금 수여까지...한국과학영재학교 모교방문 행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1부 토크콘서트에서는 박규영 포스텍 교수가 4차 산업혁명 시대 공학자의 역할에 대해
발표
했다.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가 데이터 비즈니스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등 여러 분야에서 활약중인 11인의 졸업생이 토크콘서트 연사로 섰다. 2부 은사의밤 행사에서는 은사들과 함께 교류의 ... ...
인간이 지구환경에 얼마나 영향 주나...평가도구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공동 연구팀은 3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연구팀은 그동안 지구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위험수위를 가늠하는 기준이 통일되지 않은 것에 주목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제사회가 참고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 ...
'뇌 주름 모양'이 뇌 성능에 큰 영향 미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01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3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다.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리적 구조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뇌의 주름과 뇌 내 신경세포의 구성이다. 앞서 학계에서는 뇌 표면의 모양보다 뇌 속 신경세포들의 연결된 형태인 ... ...
"비만, 정신 질환 위험↑"
연합뉴스
l
2023.06.01
연합뉴스 제공 비만은 다양한 정신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의 내과 전문의 미하엘 로이트너 교수 연구팀이 ...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중개 정신의학'(Translational Psychiatry) 최신호(1월 26일 자)에
발표
됐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항우연 노조 “과기정통부 산하 우주항공청에 반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6.01
과기노조 지부가 현재 정부가 설립을 추진중인 우주항공청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1일
발표
했다. 과기정통부 산하 외청으로 설립되서는 안된다는 게 골자다. 전국과학기술노동조합 한국항공우주연구원지부는 이날 공개한 성명서에서 “과기정통부 산하 외청으로 경남 사천에 설립 예정인 ... ...
IAEA "후쿠시마 오염수, 유의미한 수준 핵종 미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6.01
원안위 사무처장은 “이달 말까지 IAEA는 2‧3차 시료분석을 완료하고 이후 최종 보고서를
발표
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KINS는 IAEA의 2‧3차 시료분석에도 참여한다"며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겠다"고 덧붙였다 ... ...
자폐 치료법 찾을까...상대 인지하는 신경세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6.01
연구팀이 상대방을 인지하는 신경세포를 찾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
했다고 1일 밝혔다. 생쥐 행동 실험과 뇌신경 이미징 기술을 이용해 상대방이 누구인지를 인식할 때 활성화되는 개체 인지 신경세포, 개체 관련 가치 정보를 처리하는 신경세포가 해마의 CA1 부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대신 완성도가 높은 듀크팀의 모형으로 논문을 썼을 것이다. 최소한 매디슨 학회에서
발표
할 때 듀크팀의 모형에 대해 언급만 했어도 우선권 논쟁에 휘말리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고해상도 구조 규명 논문이 영국 MRC보다 먼저 나왔다면 김성호 교수와 함께 노벨상을 받았을 것이고 설사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