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모두"(으)로 총 3,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2017.10.17
- 안쪽에 두 크림 가운데 하나와(임의로 지정) 비교 크림(성분이 없는)을 바른다(실제로는 모두 성분이 없는 같은 크림이다). 크림을 바르고 30분 뒤 통증 평가를 하는데 이때 몰래 아토피 크림을 바른 곳엔 열을 가한다. 평가 결과 비싼 아토피 크림을 바른 그룹이 열로 인한 통증을 더 심하게 느끼는 ...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2017.10.14
- 좌절이 추가되기 때문이다. 우드의 연구에서도 자신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를 생각하게 한 조건의 사람들보다 오직 ‘긍정적인’ 면만 생각해보게 한 조건의 사람들이 더 기분이 나빠졌고 스스로를 나쁘게 보는 현상이 나타났다. 납득되지 않는 긍정적인 생각을 억지로 하려 할수록 되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9시간으로 당겨진 종류와 28시간으로 늦춰진 종류를 발견했다. 앞의 돌연변이체를 포함해 모두 세 가지 생체시계 돌연변이체가 나온 것이다. 제자의 발견에 깜짝 놀란 벤저 교수는 자신이 개발한 유전자 분석법을 이용해 이 세 돌연변이체가 한 유전자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고장 난 결과라고 ... ...
- 삶이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3가지 방법2017.10.06
- 이미 꽤 많은 사람들이 이미 어느정도 잘 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것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두들 힘들다고 투덜대면서도 삶을 내다버리지 않고 그럭저럭 살아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삶이 얼마나 의미있는지 7점 만점으로 표시해보라고 하면 중간인 4점을 넘어 5-5 ...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동아사이언스 l2017.09.27
- 나 탄탈륨(Ta) 같은 미량원소 성분이 결핍돼 있는 것이 특징인데, 백두산에는 이 성분들이 모두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윤성효 부산대 지구물리학과 교수는 “자오 교수가 밝힌 해양지각판의 섭입 위치처럼 지구물리학적 증거는 그의 가설을 잘 뒷받침하지만 지구화학적 데이터는 일치하지 ... ...
- 돼지→인간 장기이식, 가능성 높아졌다동아사이언스 l2017.09.24
- 100개 당 한 마리 꼴의 성공률을 보였다. 현재까지 37마리의 교정 돼지가 태어났고, 이들은 모두 PERV를 보유하지 않는다. 이들은 장기 이식에 적합한 4개월 반까지 건강하게 성장했다. 이제네시스 루한 양 박사는 “가장 큰 숙제는 풀렸다. 하지만 이종 장기 이식을 실제로 진행하기까진 인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추측할 수 있다. 한국에는 A, D, E 세 계열이 있는 걸로 확인됐다. 일본의 시료 8종은 모두 E형이었다. 한편 중국 대륙에서 얻은 시료는 A, B, C, D 네 가지였고 저우산군도에서 얻은 시료는 E형이었다. 그리고 게놈 서열 분석결과 E형이 가장 최근에 진화한 계열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들은 대략 4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하트모양인 게 둥근잎나팔꽃(또는 미국나팔꽃, 학명 Ipomoea purpurea)이다. 책을 보면 두 종 모두 “꽃을 감상하려고 외국에서 씨앗을 들여다 심었는데, 우리나라 자연 환경이 살기 알맞아서 이제는 아예 터를 잡아 저절로 자란다”고 나와 있다. 그러고 보면 천변의 나팔꽃이 바로 이런 경우 아닐까. ...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는?동아사이언스 l2017.09.10
- 현상이다. 상온에서 제각기 따로 놀던 원자들이 초저온으로 온도가 내려가면 갑자기 모두 하나의 원자처럼 똑같이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1920년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샤텐트라 보스가 처음 예견한 현상으로 이들의 이름을 따 ‘보스 아인슈타인 응축(BEC)’ 현상이란 이름이 붙었다. BEC의 ...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동아사이언스 l2017.09.03
- 교수는 “식물 잎의 크기는 1㎟에서 1㎡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전 세계 10만 여종에서 모두 다르다. 이번 연구는 차세대 식물 모델을 제공한 것으로 식물 대사의 주요 요소를 새롭게 설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